[우난순의 식탐] 성심당에서 80m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성심당에서 80m

  • 승인 2023-04-19 09:52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30419_094327170
코로나 19가 한국에 상륙한 그 해 봄, 대전 지하상가에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뉴스에 그 곳은 한동안 개미새끼 한 마리 없었다. 방역요원들이 부랴부랴 소독하고 시민들은 혹시 나도 감염되지 않았을까 공포에 떨었다. 올 봄은 언제 그랬냐는 듯 활기가 넘친다. 나는 휴일에 딱히 일이 없으면 원도심에서 시간을 죽인다. 집에서 걸어서 20분. 설렘으로 발걸음마저 사뿐사뿐하다. 드디어 지하상가에 들어섰다. 북적북적 까르르 하하. 사람이 어찌나 많은지 대전 시민들이 다 여기로 온 것 같다. 지하상가는 없는 게 없다. 옷집, 신발가게, 분식집, 액세서리 가게, 커피 매장, 타로카드 점집….

나는 성격상 사람 많은 데는 질색이라 여행을 가도 빨간 날은 피하는데 대전 지하상가는 다르다. 이 곳에 오면 나도 덩달아 들뜬다. 참 희한하다. 친구 아버지는 지하상가 분수대 의자에 하루종일 앉아 시간을 보낸다고 한다. 사람구경 하는 게 재밌다면서. 바야흐로 지하상가는 봄의 물결로 일렁인다. 보물창고가 따로 없다. 어느새 내 눈은 하나라도 놓치지 않으려는 듯 동공이 확장된다. 음료수와 간식거리를 파는 매장 앞은 장사진이다. 연인과 친구, 가족들이 시원한 음료와 종이컵에 담긴 조각피자와 와플을 먹으며 휴일을 만끽한다. 몇해 전 지하철을 탔을 때 옆에 앉은 초등생들이 어찌나 재잘거리던지. 유성에 사는 모양인데 친구 셋이서 은행동에 놀러가는 거였다. 아이들에게 은행동 나들이는 신나는 경험인 것이다. 대전 원도심은 신·구 세대가 어우러지는 힙한 곳이다.

성심당 골목은 핫, 핫, 핫플레이스다. 맙소사! BTS 콘서트장인가? 사람들이 옆 골목까지 길게 겹으로 줄지어 서 있다. 성심당 빵을 사려는 사람들이다. 나는 바게트 사는 걸 포기했다. 아무래도 평일 점심시간에 와서 사야겠다. 보통 동네 빵집을 이용하지만 바게트만큼은 성심당을 고집한다. 바게트 특유의 씹는 질감이 살아있어서다. 바게트에 아보카도와 리코타 치즈를 올려 먹으면 입안에서 환희의 송가가 울려 퍼진다. 성심당 앞 길거리 음식도 더불어 성황이다. 아, 대학 4학년 11월 이모네 떡볶이집에서 떡볶이 먹다 가수 김현식이 죽었다는 얘기를 듣고 망연자실했었는데.

지하상가~성심당거리~으능정이거리~중앙시장은 쇼핑과 음식 루트다. 요즘은 외국인도 많다. 으능정이거리는 특히 청소년들의 아지트다. 발품을 열심히 판 덕분에 맘에 쏙 드는 멜빵 청바지를 저렴한 가격에 샀다. 서너 시간 걸었나. 점심에 해먹은 돼지고기 표고버섯 묵은지찜이 벌써 소화돼 허기졌다. 돈가스 먹을까? 자그마한 식당으로 메뉴는 짬뽕, 돈가스, 치즈돈가스 세 개다. 저녁 먹기엔 이른 시간이라 손님이 두 명뿐이었다. 개업한 지 두 달 됐단다. 직원은 젊은 남자 셋. 치즈 돈가스를 주문했다. 옛날 돈가스에 치즈를 얹고 밥 한덩이와 양배추 샐러드가 전부다. 김치, 단무지 등은 셀프. 단순했다. 앗, 수프가 없네. 오뚜기 수프라도 있으면 좋을텐데. 오랜만에 쫀득한 치즈가 듬뿍 올라간 돈가스를 맛나게 먹었다.



여학생들에게 남자선생님의 연애사는 최고로 흥분되는 소재다. 고등학교 때 '열혈청년' 국어선생님이 수업시간에 대학 재수시절 여자친구와 경양식집에서 돈가스 먹은 추억을 들려줬다. 선생님은 처음 먹는 거라 '칼질'이 서툴렀는데 여자친구가 그걸 보고 창피해 했다고. 그때만 해도 서양음식은 돈가스가 대표적이던 시절이었다. 내가 접시를 싹싹 비우는 중에 직원이 문을 열고 나가 가게 앞에서 바람에 뒹구는 쓰레기를 치웠다. 순간, 이 식당에 정이 갔다. '베리굿짬뽕돈까스'가 번창했으면 좋겠다. 다음엔 짬뽕을 먹어야겠는 걸? 그런데 '돈가스'일까, '돈까스'일까? 표기법상 돈가스가 맞는데 돈까스가 입에 짝 붙는다. 짜장면처럼.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