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거문도에서 생긴 일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거문도에서 생긴 일

  • 승인 2023-07-12 10:42
  • 신문게재 2023-07-1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고등어
게티이미지 제공
10여년 전 초여름에 거문도에 갈 기회가 있었다. 지인 소개로 여행사 팸투어에 따라 나서게 된 것이다. 내내 가고 싶었던 섬이어서 휘파람을 불며 배낭을 꾸렸다. 오래 전 난 거문도를 38선 바로 아래 백령도 근처 어디 쯤에 있는 섬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남해에 있다는 걸 알고 놀랐던 기억이 있다. 회사 남자 후배와 목척교 근처에서 가이드들과 관광버스를 타고 밤 9시께 출발했다. 깜깜한 밤길을 달려 우주선 발사로 유명한 나로도항에 내렸다. 바람이 많이 불어 배가 흔들릴 거라며 인솔자가 먹는 멀미약을 나눠줬다. 인솔자는 배에 타면 의자에 몸을 밀착시키고 가만히 있으라고 당부했다. 그러면 멀미가 덜 할 거라며.

별도 달도 없는 칠흑같은 바다에서 우리가 탄 배는 격랑 속의 나뭇잎 같았다. 멀미약에 취해 몽롱한 가운데 나는 의자 손잡이를 꽉 잡은 채 등을 등받이에 딱 붙이고 빨리 시간이 가기만 바랐다. 모비딕에 맞서 싸우는 피쿼드호의 선원들 심정이 이랬을까. 후배는 화장실에 간다더니 함흥차사였다. 걱정됐지만 일어날 용기가 나지 않았다. 나중에 알고 보니 볼일을 보고 나와 돌아오는 중에 배가 심하게 흔들려 넘어진 김에 계속 누워 있었단다. 거문도 항에 닿아 배에서 내려 그 얘기를 듣고 박장대소했다. 비로소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역시 거문도는 만만한 섬이 아니었다. 다들 여관에 짐을 부려놓고 식당으로 갔다. 헉, 생선회가 쟁반만한 접시마다 산처럼 쌓여 있었다.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무슨 맛인지도 모르고 먹었다. 그 다음은 노래방. 평소 혼자 여행하다 모르는 사람들과 어울리자니 마음이 여간 불편한 게 아니었다. 괜히 왔나 싶기도 했다.

다음날 아침은 언제 그랬냐 싶게 쾌청했다. 잔잔한 바다는 은색의 갈치 비늘처럼 반짝였다. 우리는 이곳저곳을 부지런히 다녔다. 거문도는 '거문도 사건'이라는 역사가 있다. 구한말 영국해군의 거문도 점령사건. 그 흔적이 남아 있었다. 가이드들은 여성들이 많았는데 한껏 멋을 부렸다. 난 전날 입고 온 겉옷을 또 입었다. 짐은 최소한으로 한다는 배낭여행의 철칙이 몸에 밴 탓이다. 윗옷을 코에 대고 킁킁 냄새를 맡았다. 다행히 땀내는 안 났다.

다음 코스는 보성 벌교였다. 투어는 번갯불에 콩 볶아먹듯 빠듯했다. 후배와 선착장으로 가면서 문득 소설가 한창훈이 생각났다. "아 참, 한창훈이 거문도에 산다고 했는데." 후배가 말했다. "그 사람이 누구예요?" 그런데 거짓말 같은 일이 벌어졌다. 바로 눈 앞에 그 한창훈이 있는 게 아닌가. 이목구비가 진하고 너펄거리는 반백의 곱슬머리가 영락없었다. 반바지에 슬리퍼를 신고 동네사람인 듯한 남자와 함께. 나는 너무 놀라고 반가워서 다가가 "한창훈 선생님이시죠?"라고 말을 건넸다. 한창훈은 나를 힐끗 보고 고개를 돌려 상대방과 다시 얘기를 나눴다. 어라? 머쓱한 나는 더 이상 어쩌지 못하고 가던 길을 재촉했다. 소설가의 시큰둥하고 무심한 태도가 오히려 인상적이었다.



한창훈은 자신만의 문학 세계를 구축한 개성있는 소설가다. 바다를 터전으로 먹고사는 소시민들의 삶의 애환을 실감나게 그린다. 거문도에서 태어나 청년시절 밑바닥 생활을 경험으로 한 감칠맛 나는 소설에 빠져 한동안 열심히 찾아 읽었다. 에세이도 있다. 그 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는 바다 사나이 한창훈이 밥상에 올렸던 해산물에 대한 글이다. 읽으면서 계속 입맛을 다셨다. 갈치, 삼치, 문어, 고등어, 홍합, 노래미, 거북손, 미역, 우럭…. 그에겐 섬 생활이 삶의 방편이겠으나 고달픈 도시생활자들에겐 꿈의 낙원으로 다가온다. 고등어회를 한번 맛보면 다른 회는 쳐다도 안 본다고? 거문도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날을 고대하고 있다. 고등어회와 거북손의 기막힌 맛을 상상하며.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