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거문도에서 생긴 일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거문도에서 생긴 일

  • 승인 2023-07-12 10:42
  • 신문게재 2023-07-1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고등어
게티이미지 제공
10여년 전 초여름에 거문도에 갈 기회가 있었다. 지인 소개로 여행사 팸투어에 따라 나서게 된 것이다. 내내 가고 싶었던 섬이어서 휘파람을 불며 배낭을 꾸렸다. 오래 전 난 거문도를 38선 바로 아래 백령도 근처 어디 쯤에 있는 섬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남해에 있다는 걸 알고 놀랐던 기억이 있다. 회사 남자 후배와 목척교 근처에서 가이드들과 관광버스를 타고 밤 9시께 출발했다. 깜깜한 밤길을 달려 우주선 발사로 유명한 나로도항에 내렸다. 바람이 많이 불어 배가 흔들릴 거라며 인솔자가 먹는 멀미약을 나눠줬다. 인솔자는 배에 타면 의자에 몸을 밀착시키고 가만히 있으라고 당부했다. 그러면 멀미가 덜 할 거라며.

별도 달도 없는 칠흑같은 바다에서 우리가 탄 배는 격랑 속의 나뭇잎 같았다. 멀미약에 취해 몽롱한 가운데 나는 의자 손잡이를 꽉 잡은 채 등을 등받이에 딱 붙이고 빨리 시간이 가기만 바랐다. 모비딕에 맞서 싸우는 피쿼드호의 선원들 심정이 이랬을까. 후배는 화장실에 간다더니 함흥차사였다. 걱정됐지만 일어날 용기가 나지 않았다. 나중에 알고 보니 볼일을 보고 나와 돌아오는 중에 배가 심하게 흔들려 넘어진 김에 계속 누워 있었단다. 거문도 항에 닿아 배에서 내려 그 얘기를 듣고 박장대소했다. 비로소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역시 거문도는 만만한 섬이 아니었다. 다들 여관에 짐을 부려놓고 식당으로 갔다. 헉, 생선회가 쟁반만한 접시마다 산처럼 쌓여 있었다.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무슨 맛인지도 모르고 먹었다. 그 다음은 노래방. 평소 혼자 여행하다 모르는 사람들과 어울리자니 마음이 여간 불편한 게 아니었다. 괜히 왔나 싶기도 했다.

다음날 아침은 언제 그랬냐 싶게 쾌청했다. 잔잔한 바다는 은색의 갈치 비늘처럼 반짝였다. 우리는 이곳저곳을 부지런히 다녔다. 거문도는 '거문도 사건'이라는 역사가 있다. 구한말 영국해군의 거문도 점령사건. 그 흔적이 남아 있었다. 가이드들은 여성들이 많았는데 한껏 멋을 부렸다. 난 전날 입고 온 겉옷을 또 입었다. 짐은 최소한으로 한다는 배낭여행의 철칙이 몸에 밴 탓이다. 윗옷을 코에 대고 킁킁 냄새를 맡았다. 다행히 땀내는 안 났다.

다음 코스는 보성 벌교였다. 투어는 번갯불에 콩 볶아먹듯 빠듯했다. 후배와 선착장으로 가면서 문득 소설가 한창훈이 생각났다. "아 참, 한창훈이 거문도에 산다고 했는데." 후배가 말했다. "그 사람이 누구예요?" 그런데 거짓말 같은 일이 벌어졌다. 바로 눈 앞에 그 한창훈이 있는 게 아닌가. 이목구비가 진하고 너펄거리는 반백의 곱슬머리가 영락없었다. 반바지에 슬리퍼를 신고 동네사람인 듯한 남자와 함께. 나는 너무 놀라고 반가워서 다가가 "한창훈 선생님이시죠?"라고 말을 건넸다. 한창훈은 나를 힐끗 보고 고개를 돌려 상대방과 다시 얘기를 나눴다. 어라? 머쓱한 나는 더 이상 어쩌지 못하고 가던 길을 재촉했다. 소설가의 시큰둥하고 무심한 태도가 오히려 인상적이었다.



한창훈은 자신만의 문학 세계를 구축한 개성있는 소설가다. 바다를 터전으로 먹고사는 소시민들의 삶의 애환을 실감나게 그린다. 거문도에서 태어나 청년시절 밑바닥 생활을 경험으로 한 감칠맛 나는 소설에 빠져 한동안 열심히 찾아 읽었다. 에세이도 있다. 그 중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는 바다 사나이 한창훈이 밥상에 올렸던 해산물에 대한 글이다. 읽으면서 계속 입맛을 다셨다. 갈치, 삼치, 문어, 고등어, 홍합, 노래미, 거북손, 미역, 우럭…. 그에겐 섬 생활이 삶의 방편이겠으나 고달픈 도시생활자들에겐 꿈의 낙원으로 다가온다. 고등어회를 한번 맛보면 다른 회는 쳐다도 안 본다고? 거문도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날을 고대하고 있다. 고등어회와 거북손의 기막힌 맛을 상상하며.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