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동몽선습(童蒙先習)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동몽선습(童蒙先習)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민병찬 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승인 2023-10-03 10:10
  • 신문게재 2023-10-04 19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민병찬11
민병찬 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조선시대 아동도서인 동몽선습을 그간 여러 차례 읽으면서 필자는 대학강단에서 학생들에게 인간의 근본인 인성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현재의 인간성을 위협하는 물질문명의 폐해가 오늘날 인간성 회복을 위해 동몽선습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동몽선습은 조선시대 어린아이 교재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저술되었고, 초학 아동들이 천자문 다음 단계에서 반드시 학습하였던 대표적인 아동교육 교재였다. 현종 (18대 1659~1674) 이후에는 왕실에서 왕세자의 교육용으로도 활용되었다. 동몽(童蒙)이란 어린아이라는 뜻이고 선습(先習)은 먼저 익힌다는 뜻이다. 이것으로 보아도 예전 아동 교과서라고 알 수 있다. 성종-명종 때 문신이며 유학자인 민제인과 박세무가 서당에 처음 입학한 학동을 위하여 지은 책이다. 그간 동몽선습의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였으나, 특히 1543년(중종 38년) 발간된 평안도 감영본의 윤인서(尹仁恕) 발문에 당시 평양감사(平壤監司)로 있던 입암공(立巖公) 민제인(閔齊仁 :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탄생)이 공술(共述)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최근 공저자로 공인 인정되었다.

본 동몽선습은 맹자의 말을 인용하여 오륜(五倫)이 사람됨의 근본임을 밝히고 있다. 사람에게 오륜이 있음을 가지고 다른 동물에 비하여 귀하다는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유교 사상에 바탕을 둔 윤리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잘 지켜지는 곳에 실로 이상사회(유토피아)가 건설된다고 믿고 있었다. 본 책의 내용은 크게 유학의 핵심 윤리인 오륜에 관한 부분과 중국·한국의 역사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먼저 오륜의 하나하나를 나누어서 그에 대한 해설을 붙였으며, 이어 총론에서 오륜이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와 규범으로서 사람의 모든 행실이 이에 벗어날 수 없다 하고, 효(孝)는 온갖 행실의 근원이 된다고 하여 어버이 섬김의 도(道)와 절차를 대표적으로 들어 말하였다. 더욱이 요순(堯舜)의 도는 효도와 공경일 뿐이다. 순(舜)임금이 설(계(契)에 명령하시되 오륜을 가장 중시하셨으니, 동몽선습의 책에서 오륜을 맨 앞에 놓은 것은 그 뜻이 크다고 할 것이다. 아! 부모에게 효도한 뒤에야 임금에게 충성할 수 있고, 형을 공경한 뒤에라야 윗사람을 공경할 수 있을 것이니, 이것을 기준으로 살펴본다면 오륜 가운데에서 효도와 공경이 가장 우선이다. 그러나 『시경(詩經)』에서 문왕을 찬양하면서 "아! 끊임없이 빛내시어 경에 머무르셨다"고 했으니, 경(敬)이란 처음과 끝을 이루고 상과 하에 모두 통하는 공부이다. 그러므로 『대학(大學)』의 요지는 경(敬) 한 글자에 있고, 『중용(中庸)』의 요지는 성(誠) 한 글자에 있으니, 성(誠)과 경(敬)이 또한 학문을 해 나아가는 데에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새의 두 날개와 같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역사에 관한 서술에서는 우선 중국의 고대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사를 도덕적인 사관(史觀)에 근거해 기록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한국의 역사를 단군으로부터 시작하여 삼한과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간명하나 매우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국가의 흥망도 역시 인륜에 좌우된다고 하였다. 더욱이, 이 책은 아직도 우리 정통 역사학계에서 단군조선을 단군신화라고 주장하는 우리 역사의 태동인 단군조선을 최초의 역사로 기록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한국이 비록 국토는 좁지만, 예악(禮樂: 예법과 음악)과 문물이 중국에 비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아동들이 하여금 자국 역사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동몽선습은 16세기 이후 5~6세 아이들이 천자문을 배운 뒤 이어서 계몽편, 동몽수지와 함께 배우던 교과서이다. 그래서 이 책은 어린이들을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교과서라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이 책은 비록 명칭만은 어린이 교과서로 되어 있지만 오늘날에서 보면 실제로 성인들의 자기 수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오늘날 문화가 고도로 발달하고 산업화하면서 물질에만 탐욕이 생기고, 생존경쟁이 치열해져서 자칫하면 인간의 도리에서 벗어나고, 또 목표를 상실하게 되어 인생행로에서 방황하기 쉽다. 어떠한 어려운 환경에 부딪혀도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신념을 갖게 하고 또한 오늘날 인간답게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 길을 가르쳐 주는 데 이 책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민병찬 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