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광천식당 골목에 서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광천식당 골목에 서서

  • 승인 2023-12-06 10:13
  • 신문게재 2023-12-07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31206_093316505
'인정이 몹시 그리워지는 어느날 나는 남장(男裝)을 하고 거리에 나섰다.' 가을과 겨울의 경계에서 나는 소설의 이 매혹적인 첫 문장을 떠올린다. 그것은 의도적이지 않다. 그저 몸으로 체득한 강렬한 경험의 기억같은 것이랄까. 나는 초록색 아망구를 푹 눌러쓰고 플라타너스 길을 따라 걸었다. 빗물에 젖은 가랑잎들은 나른하고 묵직했다. 낙엽은 어떠한 고통도 없이, 어떠한 존엄도 없이 몇 번의 비가 더 내린 뒤엔 산산이 흩어질 것이다. 벙벙한 파카를 입은 긴 머리의 어린 여자가 담벼락에 붙어서 담배를 피운다. 하얀 연기가 몽글몽글 오르다 금세 흔적없이 사라진다. 삶이 그럴까.

휴일 오후를 하릴없이 헤맸다. 어느새 먹색의 하늘엔 흰 달빛이 음습하게 비추고 있었다. 나는 무엇에 홀린 듯 길을 꺾어 뒷골목으로 들어섰다. 여기는 아직도 내 청춘의 한 시절에 머물러 있었다. 이상할 정도로 골목은 바뀌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다만 인적이 드문 적막감만이. 친구와 뻔질나게 드나들던 이수락은 자취를 감췄다. 새콤매콤한 쫄면을 생각하자 침이 고였다. 아! 광천식당. 대전의 명물 두부두루치기의 원조 아닌가. 대학 다닐 때 여기서 과 모임도 했었는데. 두툼한 두부가 쟁반만한 접시에 가득 담겨 나오는 집. 두부가 꽤 매워 여자동기는 위염이 있다면서 두부를 물에 헹궈 먹었지. 식당 안에서 손님들이 두런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30년이 훌쩍 지난 지금, 나는 어두운 골목에 서서 코를 훌쩍였다. 가슴이 먹먹해서 눈물이 난 게 아니었다. 칼바람에 코끝이 찡해서였다.

대림관광호텔도 여전히 그 자리에 있었다. 여긴 재밌는 에피소드가 있는 곳이다. 어느날 길을 걷는데 낯선 남자가 차 한잔 하자고 했다. 차려입은 폼을 보니 영락없는 제비족이었다. 호기심이 발동했다. 우리는 대림호텔 로비 커피숍으로 들어갔다. 오렌지주스를 시키고 탐색을 시작했다. 긴장과 흥분으로 가슴이 두근거렸다. 오줌이 마려웠으나 주스에 수면제를 탈까봐 꾹 참았다. 덥석 따라온다 싶었는데 빤히 쳐다보며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이 아무래도 잘못 짚었다는 생각을 했는지, 운도 지지리도 없는 제비족은 허탈한 표정으로 찻값을 계산했다. 그 백바지 신사는 안녕하실까.

나는 어둠 속을 두리번거렸다. 찻집의 불빛이 이교도의 눈처럼 은밀하게 반짝였다. 자그마한 식당 출입문에 붙은 '오늘의 메뉴 제육볶음, 북엇국, 계란말이'를 보고 문을 열었다. 중년의 사내가 등을 돌리고 밥을 먹고 있었다. 말수가 없고 차분한 표정의 주인 아주머니가 열심히 손을 놀렸다. 단발머리의 젊은 여성은 경쾌하게 음식을 날랐다. 모녀지간이라고 했다. 밥상이 정갈하고 소박했다. 북엇국을 한 술 떠먹었다. 구수하고 칼칼한 게 언 몸이 확 풀렸다. 점심에 찹쌀떡과 곶감을 먹은 탓에 매콤한 것이 끌렸는데 마침맞았다. 오랜만에 먹는 제육볶음에 계속 손이 갔다. 된장으로 무친 쌉쌀한 머위와 무생채는 또 달래서 먹었다. 전기난로의 빨간 불빛이 아궁이 같았다. 쪼맨할 때 불을 때는 엄마 옆에 찰싹 붙어 활활 타는 불을 쬐며 졸던 추억. 누렁이도 내 옆에서 꾸벅꾸벅. 밥은 모성이라고 했던가. 시인 이성복은 '오 밥이여, 어머니 젊으실 적 얼굴이여!'라고 썼다.



골목은 아련한 추억이 밴 원초적인 무언가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 흘러가기도 하고 머물기도 하는 장소. 쓸쓸함과 진한 사람 냄새로 얼룩진 내 영혼의 안식처. 개발논리에 허물어지는 도시의 후미진 뒷골목에 대한 애착은 나의 이기심일까. 밤하늘에 홀로 떠 있는 별이 구름에 숨었다 나타난다. 별이 얼음조각처럼 차가울 것 같다. 골목 입구에 트럭을 세워놓고 귤을 파는 남자가 손을 비비며 서성거린다. 귤 한 봉지를 사서 '이층에서 본 거리'를 흥얼거리며 타박타박 집으로 향했다. <지방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수부 논란 충청권서 李대통령 與 지지율 동반하락 직격탄
  2. "이번엔 될까"… 대전교도소 이전 예타 통과 추진
  3. 이재명 정부, 1차 지명 장관 후보 11명… 충청은 사실상 ‘0명’
  4.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5. [맛있는 여행] 77-그 섬에 가면…보령시 원산도
  1. 이장우 시장 "바이오 창업-멘토링, 투자 시스템 중요"
  2. [세상속으로]민생회복지원금이 왜?
  3. 아시아 축제 컨퍼런스 성료...태국 푸켓서 한국 축제 위상 확인
  4. 27일부터 대전시 123번 버스 신설
  5. 전국 고교생 웹소설 공모전… 슈퍼 루키 찾아라!

헤드라인 뉴스


전국민 민생쿠폰, 대전시 부담 800억… 지자체 부담 우려

전국민 민생쿠폰, 대전시 부담 800억… 지자체 부담 우려

이재명 정부의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을 앞두고 충청권 행정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전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자체의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 민생 쿠폰에 투입될 수백억 원의 예산까지 떠안게 되면서다. 일부 지역에서는 정부가 사업비 비율을 감당해달라는 의견까지 나오면서 조만간 전국 시도차원에서의 의견 전달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 지원금인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사업의 세부적인 방안 논의를 통해 조만간 각 지자체에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추가 경..

민주당 충청 국회의원 전원, ‘행정수도 건립 특별조치법’ 발의
민주당 충청 국회의원 전원, ‘행정수도 건립 특별조치법’ 발의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논란 속에 행정수도를 제대로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이른바, ‘행정수도 완성법안’을 발의했다. 국회의사당 분원이나 대통령 제2 집무실 등 부분 이전이 아니라 ‘완전 이전’과 함께 제2차 공공기관 이전까지 보장하는 내용을 담은 법을 제정해 체계적으로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는 의지다. 그러나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선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는 등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 일동(18명)은 24일 성명..

李,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해수부 연내 이전 검토 지시”
李,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해수부 연내 이전 검토 지시”

이재명 대통령인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24일 "해양수산부를 올해 안에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전날 부산 북구갑 전재수 국회의원을 해수부 장관 후보로 지명한 데 이어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하면서 해수부 이전이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오늘(24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이 (강도형 해수부 장관에게) 12월 안에 해수부 이전이 가능한지 검토해보라는 언급을 했다"고 전했다. 또 "절차가 어떤지, 이런 것을 보고했는데, 실용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은 '12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수 김연자, 김소연 대전경찰청 홍보대사 위촉 가수 김연자, 김소연 대전경찰청 홍보대사 위촉

  • 집중호우 대비 수난구조…‘훈련도 실전같이’ 집중호우 대비 수난구조…‘훈련도 실전같이’

  • 성숙한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대전소비자의 날 성숙한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대전소비자의 날

  • 이장우 대전시장, 민선8기 3주년 브리핑 이장우 대전시장, 민선8기 3주년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