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성큼 다가온 백세시대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성큼 다가온 백세시대

김태열 수필가

  • 승인 2024-04-15 14:49
  • 신문게재 2024-04-16 19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풍경소리 김태열 수필가
김태열 수필가
삶이 팍팍하다고 아우성친다. 자기 욕망의 기준을 타인의 잣대에 맞추려고 하니 힘들다. 주변에서 믿고 본받을만한 어른도 찾을 수 없다고 한다. 각자도생이다. 나이로는 지하철을 공짜로 타는 노인에 들어가도 귀가 순해지기는커녕 쓴소리에 자꾸 닫힌다. 세월의 무게에 눌리지 않고 나답게 사는 길을 찾고 싶어 서점을 찾았다.

나이 듦에 좋은 책 한 권은 괜찮은 친구다. 헤밍웨이의 대표작인 '노인과 바다'를 뇌에 새로운 자극을 주기 위해 원서로 읽어보고 싶었다. 세월의 풍상을 이기고 여전히 깊은 울림을 던지는 고전이다. 막상 책을 펼치니 글자가 작아 보기 힘들었다. 유튜브로 검색하니 'The old man and The sea'를 하루 한 장씩 해석하는 채널이 있었다. TV로 연결해 큰 활자로 날마다 보니 59일 만에 다 읽을 수 있었다. 유튜브가 가진 반복 학습의 장점을 살려 공부하니 생소한 용어가 나와도 그리 힘들지 않았다.

외딴집에서 홀로 사는 노인은 조각배로 낚시를 나간다. 84일 동안 한 마리 물고기도 잡지 못해 재수 없다고 놀림당한다. 다음날 처음 40일 동안 함께 했던 소년이 구해준 미끼를 갖고 혼자 바다로 떠난다. 먼바다에서 태양이 뜨거울 때 그토록 바라던 물고기가 미끼를 문다. 청새치임을 직감한다. 밤낮으로 줄다리기를 하면서 마침내 물 위로 올라온 그를 작살로 잡는 데 성공한다. 배 옆에 물고기를 묶은 채 돌아오는 길에 피 냄새를 맡고 나타난 여러 상어 떼와 처절히 싸운다. 끝내 살점이 다 뜯어먹힌 채 뼈만 매달고 돌아온다는 단순한 줄거리다. 불확실한 앞날에도 포기하지 않는 끈기, 고통과 두려움에 굴복하지 않는 용기, 최선을 다한 후 결과에 연연하지 않는 초연함, 고독 속에도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연대감이 건져졌다.

노인이 됨은 무슨 의미일까. 생물학적인 노화는 인간에게 짊어진 숙명과 같아도 나이를 바라보는 시선은 시대마다 달랐다. '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나이 들어서 물러나지 않고 현역으로 활동하는 이들을 두고 후배들 앞길 막는다고 숙덕거렸다. 물러날 때를 모르고 자리에 연연하는 이를 노욕으로 물든 철부지라고 여기기도 했다. 지금은 나이 듦에 현역으로 활발히 활동해도 당연하다고 여긴다.



나이에 대한 고정관념들이 서서히 무너졌다. 여러 분야의 많은 사람이 고희를 훌쩍 넘긴 나이임에도 여전히 현역으로 뛴다. 고희(古稀)는 두보의 시 「곡강」의 한 구절인 '인생칠십고래희'에서 나왔다. 일흔까지 산 사람이 퍽 드물었던 시대였다. 지난날 다녔던 회사를 돌이켜보면 정년퇴직하고 10년쯤 지나면 돌아가셨다는 선배들의 소식이 많이 들려왔다. 상갓집에 가면 70대에 돌아가셔도 호상으로 불렀다. 지금은 부고장을 봐도 여든 후반이거나 아흔이 넘는다. 호상이라는 말조차 잘 하지 않는다.

이제 일흔은 젊은 노년에 지나지 않는다. 회갑 잔치를 건너뛰더니 칠순 잔치는 옛날 말이고 팔순 잔치도 조용히 치른다. 단순히 생물학적인 잣대로 일률적으로 나이를 규정지어 개인의 능력을 한정할 수가 없다. 팔십을 산수(算壽) 구십을 졸수(卒壽)라고 부르는 호칭은 아흔이 넘어도 활기차게 생활하시는 분들이 많아 시대의 변화와 어긋난다. 사람마다 인생경로가 다르듯 노화 과정도 제각각이다.

백세시대, 축복도 비극도 아닌 세상의 변화일 뿐이다.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다시 젊어질 수는 없겠지만 노화의 속도와 질은 생활 습관과 삶을 바라보는 태도에 많이 달려있다. 최근 의학계도 노화를 질병이라는 관점에서 항(抗)노화에 이어 역(逆)노화의 문을 여는 연구성과를 제시하고 있다. 건강한 백세인이 먼 이야기가 아닌 듯하다.

노인과 바다의 한 구절이 가슴에 쏙 안겼다. "A man can be destroyed but not defeated'. 사람은 시간에 의해 파괴될 수 있지만 패배할 수는 없다고 나대로 해석을 해본다. 어느새 성큼 다가온 백세시대다. 끈기, 용기, 초연함, 연대감으로 맞이할 준비는 되어 있는가. /김태열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