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빵 먹고 나면 뭐가 당겨?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빵 먹고 나면 뭐가 당겨?

  • 승인 2024-04-17 10:16
  • 수정 2024-04-17 13:3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40417_094557311
대전에서 군산을 가려면 익산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익산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는 동안 아침을 먹었다. 떡 세 개, 찐계란, 딸기. 기차에서 먹으려다 쿨쿨 자느라 그새를 놓쳤다. 일어나자마자 밥솥에 찐 떡이 말랑말랑했다. 계란, 딸기까지 먹고 나니 허기가 가셨다. 곱게 단장한 할머니 한 분도 주먹밥을 드셨다. 집에서 만들어 온 모양이었다. 먼 길을 가시나. 시간이 남아 여기저기 어슬렁거렸다. 역내 식당이 꽤 많았다. 라면집은 손님이 북적였다. 솔솔 풍기는 라면 냄새에 끌려 창에 코를 박고 안을 기웃거렸다. 저녁은 라면으로 낙점!

군산 신흥동 근대화거리 가는 길에 이성당이 있다. 이성당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이다. 유명세 덕분에 대전 성심당 못지않게 휴일엔 사람들로 북적인다. 다행히 아침이라 번잡하진 않았다. 이것저것 빵 다섯 개를 사들고 나왔다. 순간 웃음이 쿡 나왔다. 멀리서 온 외지인들이 성심당 앞에서 줄을 지어 기다리다 빵을 사는 모습이 신기했는데, 나도 다르지 않았다. 이성당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이즈모야'라는 빵집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해방 후 한국인 이석우씨가 이즈모야를 불하받아 이성당으로 출발했다고. 이성당의 한자는 '李盛堂'으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번성하는 곳'이란 뜻이다. 성은 다르지만 현재 그 후손들이 4대째 운영하고 있으니 소원을 푼 셈이다.

신흥동 골목은 평일이어서 직박구리 소리만 요란할 뿐, 고요했다. 풍수에 문외한인 내가 봐도 이 곳은 좋은 터란 느낌이 든다. 그러니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자리잡고 살던 곳 아닌가. 식량 수탈의 쓰라린 역사의 도시 군산. 군산은 일본이 호남의 드넓은 평야에서 생산한 쌀을 본토로 가져가는 항구였다. 당시 일본인 대지주들은 조선인의 고혈을 쥐어짰다. 히로쓰 가옥은 그때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옆에서 귀동냥한 문화유산해설사의 말에 의하면 이 집을 짓는데 5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지금 봐도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짐작이 간다. 유카타를 입고 다다미방에서 군산 앞바다에서 잡은 생선회와 조선 농민의 피땀이 밴 쌀밥을 먹는 히로쓰. 식민지 조선에서 부와 권력을 누린 일본인.

히로쓰 가옥에도 '일본식 정원'이 있다. 정원에서 히로쓰를 생각하며 콩알만한 치즈가 촘촘히 박힌 바게트를 잘근잘근 씹어먹었다. 서구인들은 일본문화를 숭배하는 경향이 있다. 타란티노의 '킬빌'은 일본영화에 대한 오마주로 가득하다. 롤랑 바르트는 일본을 방문하고 나서 일본을 찬양하는 <기호의 제국>을 썼다. 이성당의 시그니처 단팥빵은 일본에서 건너왔다. 메이지시대 중국의 바오쯔에 착안해 팥소를 넣은 바오쯔를 서구풍의 껍질 빵 형태로 만든 것이다. 크림빵, 건빵, 라면도 일본 태생이다. 건빵은 담백하고 바사삭 하는 식감이 좋아 즐겨 먹는다. 침략과 함께 들어오는 음식은 피해국민의 입맛에 빠르게 흡수된다. 도리 없다. 스팸과 커피도 전쟁이 전파했다. 설렁탕은 몽골침략과 함께 한반도에 들어왔다.



빵 다섯 개를 '순삭'했다. 그 중 나비파이는 시럽을 발라 달콤하고 사르르 녹았다. 하나 더 살걸. 잔소리대마왕 의사들은 밀가루와 설탕은 먹지 말라고 경고한다. 왜 자꾸 그들은 나를 죄책감에 빠지게 할까. 달디단 빵을 먹은지라 매콤한 게 당겼다. 뜨끈하고 얼큰한 순두부찌개는 언제나 진리다. 큰 투가리에 끓여 나온 순두부는 직접 만든 거란다. 매콤한 국물이 느글한 빵의 뒷맛을 없애줬다. 살짝 짠 게 옥에 티랄까. 개복숭아처럼 시디신 묵은지가 침샘 물꼬를 터사정없이 터뜨렸다. 어쩜 군내 없이 이렇게 깔끔할까. 이날은 하루종일 배가 빵빵해 속이 더부룩했다. 밥을 남겼어야 하는데. 만삭의 임신부가 이럴까. 아, 단짠의 세계는 녹록지 않았다. 익산역 라면은 먹지 못했다. <지방부장>
단팥빵
이성당 단팥빵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권오중 의원, "교통약자 보호 및 시민 보행권 보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2. 천안시, 제77회 충청남도민체육대회서 주택안심계약 홍보
  3. 천안시의회 정도희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마을행정사 운영에 관한 조례안 본회의 통과
  4. 천안법원, 신체일부 노출한 채 이웃에게 다가간 20대 남성 '벌금 150만원'
  5. 천안시의회 유영채 의원, '전세피해임차인 보호조례' 제정… 실질 지원과 안전관리까지 법제화
  1. 대전 문화동 국방부 땅 매각 검토될듯…꽃마을엔 대체부지 확보 요청도
  2.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3. 여름휴가와 미래 정착지 '어촌' 매력...직접 눈으로 본다
  4.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5.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며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 대표 공약이었던 행정수도 완성 의지에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집권 초부터 PK 챙기기에 나서면서 충청권 대표 대선 공약 이행에 대한 진정성은 실종된 것이 아니냐는 비판에 따른 것이다. 자칫 충청 홀대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대목인데 더 이상의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해선 특별법 제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로드맵을 조속히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5일 본보 취재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

대전시의회, 유성복합터미널 BRT 등 현장방문… "주요 사업지 현장방문 강화"
대전시의회, 유성복합터미널 BRT 등 현장방문… "주요 사업지 현장방문 강화"

대전시의회가 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와 장대교차로 입체화 추진 예정지 등 주요 사업지를 찾아 현장점검을 벌였다. 산업건설위원회는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현장, 교육위원회는 서남부권 특수학교 설립 예정 부지를 찾았는데, 을 찾았는데, 이번 현장점검에 직접 나선 조원휘 의장은 "앞으로 민선 8기 주요 사업지에 대한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조 의장은 13일 유성구 일대 교통 현안 사업 현장을 찾았다. 먼저 유성복합터미널 BRT(간선급행버스체계) 건설 현장을 방문했다. 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는 유성구..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흥행에…주변 상권도 `신바람`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흥행에…주변 상권도 '신바람'

올 시즌 프로야구 흥행에 힘입어 경기 당일 주변 상권들의 매출이 2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 야구장 중 주변 상권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구장은 한화이글스의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다. 15일 KB국민카드에 따르면 2022~2025년 한국프로야구(KBO) 리그 개막 후 70일간 야구 경기가 열린 날 전국 9개 구장 주변 상권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2022년 대비 2023년 13%, 2024년 25%, 올해 31%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체크카드로 결제한 141만 명의 데이터 5..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 ‘선생님 저 충치 없죠?’ ‘선생님 저 충치 없죠?’

  • ‘고향에 선물 보내요’ ‘고향에 선물 보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