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빵 먹고 나면 뭐가 당겨?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빵 먹고 나면 뭐가 당겨?

  • 승인 2024-04-17 10:16
  • 수정 2024-04-17 13:3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40417_094557311
대전에서 군산을 가려면 익산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익산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는 동안 아침을 먹었다. 떡 세 개, 찐계란, 딸기. 기차에서 먹으려다 쿨쿨 자느라 그새를 놓쳤다. 일어나자마자 밥솥에 찐 떡이 말랑말랑했다. 계란, 딸기까지 먹고 나니 허기가 가셨다. 곱게 단장한 할머니 한 분도 주먹밥을 드셨다. 집에서 만들어 온 모양이었다. 먼 길을 가시나. 시간이 남아 여기저기 어슬렁거렸다. 역내 식당이 꽤 많았다. 라면집은 손님이 북적였다. 솔솔 풍기는 라면 냄새에 끌려 창에 코를 박고 안을 기웃거렸다. 저녁은 라면으로 낙점!

군산 신흥동 근대화거리 가는 길에 이성당이 있다. 이성당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이다. 유명세 덕분에 대전 성심당 못지않게 휴일엔 사람들로 북적인다. 다행히 아침이라 번잡하진 않았다. 이것저것 빵 다섯 개를 사들고 나왔다. 순간 웃음이 쿡 나왔다. 멀리서 온 외지인들이 성심당 앞에서 줄을 지어 기다리다 빵을 사는 모습이 신기했는데, 나도 다르지 않았다. 이성당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이즈모야'라는 빵집으로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해방 후 한국인 이석우씨가 이즈모야를 불하받아 이성당으로 출발했다고. 이성당의 한자는 '李盛堂'으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번성하는 곳'이란 뜻이다. 성은 다르지만 현재 그 후손들이 4대째 운영하고 있으니 소원을 푼 셈이다.

신흥동 골목은 평일이어서 직박구리 소리만 요란할 뿐, 고요했다. 풍수에 문외한인 내가 봐도 이 곳은 좋은 터란 느낌이 든다. 그러니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자리잡고 살던 곳 아닌가. 식량 수탈의 쓰라린 역사의 도시 군산. 군산은 일본이 호남의 드넓은 평야에서 생산한 쌀을 본토로 가져가는 항구였다. 당시 일본인 대지주들은 조선인의 고혈을 쥐어짰다. 히로쓰 가옥은 그때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준다. 옆에서 귀동냥한 문화유산해설사의 말에 의하면 이 집을 짓는데 5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지금 봐도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짐작이 간다. 유카타를 입고 다다미방에서 군산 앞바다에서 잡은 생선회와 조선 농민의 피땀이 밴 쌀밥을 먹는 히로쓰. 식민지 조선에서 부와 권력을 누린 일본인.

히로쓰 가옥에도 '일본식 정원'이 있다. 정원에서 히로쓰를 생각하며 콩알만한 치즈가 촘촘히 박힌 바게트를 잘근잘근 씹어먹었다. 서구인들은 일본문화를 숭배하는 경향이 있다. 타란티노의 '킬빌'은 일본영화에 대한 오마주로 가득하다. 롤랑 바르트는 일본을 방문하고 나서 일본을 찬양하는 <기호의 제국>을 썼다. 이성당의 시그니처 단팥빵은 일본에서 건너왔다. 메이지시대 중국의 바오쯔에 착안해 팥소를 넣은 바오쯔를 서구풍의 껍질 빵 형태로 만든 것이다. 크림빵, 건빵, 라면도 일본 태생이다. 건빵은 담백하고 바사삭 하는 식감이 좋아 즐겨 먹는다. 침략과 함께 들어오는 음식은 피해국민의 입맛에 빠르게 흡수된다. 도리 없다. 스팸과 커피도 전쟁이 전파했다. 설렁탕은 몽골침략과 함께 한반도에 들어왔다.



빵 다섯 개를 '순삭'했다. 그 중 나비파이는 시럽을 발라 달콤하고 사르르 녹았다. 하나 더 살걸. 잔소리대마왕 의사들은 밀가루와 설탕은 먹지 말라고 경고한다. 왜 자꾸 그들은 나를 죄책감에 빠지게 할까. 달디단 빵을 먹은지라 매콤한 게 당겼다. 뜨끈하고 얼큰한 순두부찌개는 언제나 진리다. 큰 투가리에 끓여 나온 순두부는 직접 만든 거란다. 매콤한 국물이 느글한 빵의 뒷맛을 없애줬다. 살짝 짠 게 옥에 티랄까. 개복숭아처럼 시디신 묵은지가 침샘 물꼬를 터사정없이 터뜨렸다. 어쩜 군내 없이 이렇게 깔끔할까. 이날은 하루종일 배가 빵빵해 속이 더부룩했다. 밥을 남겼어야 하는데. 만삭의 임신부가 이럴까. 아, 단짠의 세계는 녹록지 않았다. 익산역 라면은 먹지 못했다. <지방부장>
단팥빵
이성당 단팥빵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3.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