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 공교육 멈춤의 날 그 후 '세종시 교육 현장' 달라졌나?

  • 정치/행정
  • 세종

9.4 공교육 멈춤의 날 그 후 '세종시 교육 현장' 달라졌나?

세종교사노조, 4월 24일~5월 10일 지역 유·초·중등·특수교육 교원 849명 응답 설문조사
최근 1년 간 이직·사직 고려 교원, 응답자의 59% 달해...존중받지 못한다 응답자도 66%
교권 회복 4법 개정 실효성 낮아...89%가 체감 못해

  • 승인 2024-05-14 09:01
  • 수정 2024-05-14 09:10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교원 인식
세종교사노조가 스승의날을 맞아 교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지표.
2023년 대한민국 공교육의 아픈 현실을 보여준 '서이초 교사' 사망 사고. 교육 현장의 정상화를 촉구하는 9.4 공교육 멈춤의 날은 세종시에서도 간절한 외침의 시간으로 승화했다.

세종시 8개 초등학교가 재량(임시) 휴업에 나섰고, 초등 교사들의 최대 80%가 자발적 연가로 변화를 갈망했다. 당시 이응다리에 모인 촛불의 행렬은 2024년 새로운 변화를 기대케 했다.



6월의 문턱에 선 현재, 지역 교사들의 체감도는 이전보다 좋아졌을까. 현실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지표가 확인됐다.

세종교사노동조합(위원장 김은지, 이하 세종교사노조)은 2024 스승의 날에 맞춰 교원들의 인식 설문조사에 나섰다. 4월 24일부터 5월 10일까지 총 17일 동안 지역 유·초·중등·특수교육 교원들을 대상으로 '교육 현안 인식조사'를 실시했고, 모두 849명이 응답했다.



설문의 초점은 교원의 직무 만족도와 교사의 교육활동 보호, 민주적인 학교 문화 등의 섹션에 맞췄다.

무엇보다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한 적이 있다는 교사가 응답자의 58%(492명)에 달한 점은 생각해볼 과제로 부각됐다. 직무 만족도에 대한 긍정과 부정 응답자는 각각 37%, 34%로 비슷했다.

'교사직업이 우리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느낀 응답자도 아니다 37%와 전혀 아니다 29%를 더해 66%에 달했다.

그렇다고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교사들의 사명감마저 결여된 것은 아니었다. 75%(637명)는 이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는 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가장 힘든 부분은 ▲수업 방해 학생으로 인한 시간 허비 : 64%(543명) ▲최근 3년간 학생과 보호자에 의한 교권 침해 경험 : 각각 54%(458명), 67%(569명) ▲최근 1년간 정서적 아동학대 고소 걱정 : 70%(594명) ▲최근 3년간 불법 녹취 피해 : 8%(68명) 등의 지표에서 확인됐다.

지난해 서이초 사건 이후 교육 현장의 변화 체감도 역시 낮았다. 교권 회복 4법이 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근무 여건은 좋아지지 않았다'는 응답이 89%(756명)에 달했다. 이의 원인으론 수업 방해 분리 학생 제도 부실(68%, 577명), 민원응대 시스템 미작동(71%, 603명), 학교폭력 전담 조사관 제도의 실효성 부재(관련 업무 담당자 중 72%, 162명) 등이 지목됐다.

학생 개인의 심리적 요인 및 가정 불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수업 참여 및 교우 관계를 제대로 맺지 못하는 위기 학생에 대한 인식도 이번 조사에 담겼다.

교원 67%(569명)는 최근 3년간 위기 학생의 수업 방해 및 교실 내 폭력을 중재한 경험을 가졌고, 59%(500명)는 보호자와 상담 과정에서 갈등을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현실 아래 95%(807명) 교원은 위기 학생 보호와 교육을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강도 섹션에선 교사의 본질적 업무 수행을 위한 초과 근무 신청에 부담(18%, 153명), 연가나 조퇴 등을 신청하는 데 어려움(25%, 212명) 등이 현실로 확인됐다.

관리자인 교감·교장과 관계 설정도 숙제로 나왔다.'최근 3년간 교감 및 교장 등 관리자에게 갑질을 당한 적이 있다'는 교원이 33%(280명)로 조사됐고, '관리자가 교사의 교육활동 보호에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한 교원이 38%(323명)에 육박하는 등 불신이 적잖았다. '업무분장이 합리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답변은 55%(467명), '학교 방학 중 근무 형태를 민주적으로 협의하고 있지 않다'는 답변도 12%(102명)로 적시됐다.

결국 이 같은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해볼 때, 세종교육청에게 던져진 과제는 더욱 분명하다.

현장 여건에 맞지 않는 개선 대책과 제도 재정비, 시간 외 근무와 법정 휴가 일수 보장, 학교 내 관리자와 일반 교원 간 갈등 최소화 대책, 정서적 아동학대의 구성 요건 명확화와 법적 내용 수정 등이 검토해볼 부분이다.

김은지 위원장은 "이번 설문을 통해 세종시 교육 현장 내 교사들의 현재 상황, 생각, 경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게 됐다"며 "아직도 학교 교육 현장에선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이 존재한다. 교사들이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권리를 보장하며 난관을 해결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당진시, 신규 공무원 임용식 개최
  2. <인사>대전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5.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