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깁스 해도 디저트는 못 참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깁스 해도 디저트는 못 참아

  • 승인 2024-07-24 11:15
  • 수정 2024-07-24 14:46
  • 신문게재 2024-07-25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디저트
우당탕탕 쿵. 오른쪽 발목이 기역자로 확 꺾이면서 뚝 하는 느낌이 왔다. '아 망했다, 망했어.' 밤에 집 앞 상가 건물 계단을 내려오다 컴컴해서 발을 헛디뎠다. 사람이 지나가면 자동으로 점등되는데 건물주가 관리비를 아끼려고 그런 건지. 아우 승빨 나. 나도 부주의했다. 난간을 붙들고 내려왔으면 이런 불상사는 없을텐데, 울상이 돼서 집까지 엉금엉금 기다시피 왔다. 다음날 일어나보니 발이 시푸르둥둥 호빵처럼 부어 올라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그날은 현충일이라 병원도 휴무고. 회사 상사가 출근길에 압박붕대, 진통제 등을 사다줘 그걸로 버티며 집에서 일했다. 다음날 병원에서 엑스레이 찍은 결과 근막파열이란다. 깁스를 하고 일주일간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오전 일을 서둘러 끝내고 매일 병원에 출근도장을 찍었다. 걷는 게 이렇게 힘들 줄이야. 온 몸의 에너지가 걷는 데 집중되기 때문에 병원 갔다오면 녹초가 됐다. 운동을 못하니까 근육도 빠르게 빠져나갔다. 최근 똥배가 은근히 나와 신경 쓰였는데 그것도 들어갔다. 그럼 똥배도 근육이었나?(지금 다시 나옴) 하루는 카톡을 이것저것 훑어보다 화들짝 놀랐다. 기프티콘이 나를 향해 방긋 웃는 게 아닌가. 5월 초 업무적으로 알고 지냈던 사람이 생일 축하한다면서 프랜차이즈 카페 선물교환권을 보낸 걸 이제야 발견한 것이다. 얼굴도 본 적 없고 전화나 카톡만 하는 지극히 사무적인 관계였다. 그것도 작년 12월로 업무관계가 끝나 연락 주고받을 일이 없는데 말이다.

다음 날 병원갔다 오는 길에 당장 카페에 들러 한 꾸러미 들고 나왔다. 사실 이 카페 케이크는 나의 최애 디저트다. 깁스한 다리를 엉거주춤하게 뻗은 채 TV를 보면서 샌드위치를 순식간에 먹었다. 그리고 '스누피의 썸머 베케이션'을 열었다. 튜브를 타고 망중한을 즐기는 스누피가 그려진 화이트초콜릿 조각을 뽑아 아그작아그작 씹었다. 자, 황홀한 세계로 빠져 봅시다! 모름지기 케이크는 천천히 음미하면서 먹어야 한다. 한 스푼 푹 떠서 입에 넣고 오물오물. 한없이 부드럽고 달콤한 것이 혀를 희롱한다. 발목이 접질려 잔뜩 성난 새끼 고양이 같았던 몸의 세포가 금세 말랑말랑해졌다. 나를 무장해제시키는 마성의 권력자. 단맛은 코뿔소처럼 저돌적이고 원초적이다. 그 누가 이 맛을 거부할 수 있을까. 다음은 '베리쿠키 아박'. 신제품인가? 처음 먹어본다. 마지막으로 나의 시그니처 디저트 '마스카포네 티라미수'. 다 이루었도다!

맛있는 거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나는 음식에 대한 궁금함을 참지 못한다. '열두시에 만나요 부라보콘~.' 어릴 적 이 아이스크림을 먹어보고 싶어 몸살날 지경이었다. 드디어 6학년 봄소풍 때 소원을 풀었다. 학교 앞 점방에서 그것도 두 개나. 하나에 50원이었나? 친구들이 앞에서 침을 삼키며 구경하는데도 모른 척 했다. 내 먹부림이 인정을 찍어 눌렀다. 마시멜로는 어떻고. 40대 중반에 처음 알았다. TV에서 보고 저게 뭐지? 목화송이처럼 하얀데 무슨 맛일까? 요리조리 검색한 결과 '마시멜로'라고 하는데 그땐 슈퍼에서 팔지 않았다. 내가 어디가야 살 수 있을까 궁금해 하자 언니가 회사 동료들한테 물어봤단다. 대형마트에 가 보라고. 스펀지처럼 폭신폭신하면서 식감이 묘했다. 요즘도 종종 한 봉지 뚝딱.



깁스는 풀었지만 발목은 여전히 치료 중이다. 언제쯤 산에 갈 수 있을까. 출퇴근이 고난의 행군과 다를바 없다. 넘어진 김에 쉬었다 간다고, 시간이 약이라고 애써 위안 삼는다. 지난주 퇴근길에 편의점에 들러 로또를 사다가 번쩍 생각났다. '두바이 초콜릿'. "8월에 나와요. 저도 어떤 맛인지 궁금해요." 알바생이 맞장구치면서 활짝 웃었다. 요즘 디저트 덕후들에게 이 초콜릿이 난리다. 8월이 온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5.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