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2025~2028년은 한국-쿠바 상호 방문의 해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2025~2028년은 한국-쿠바 상호 방문의 해

윤기관(충남대 명예교수 회장)

  • 승인 2024-09-06 00:03
  • 수정 2024-09-06 10:36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윤기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휴전이 이루어지자 한국과 쿠바 양국은 '수교'를 논의하였다. 수교 논의는 쿠바가 대한민국을 '독립 국가'로 승인함을 의미한다. 1959년 쿠바가 공산혁명을 완수하자 양국은 수교 논의가 중단되었다. 쿠바는 1960년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쿠바 가슴에는 여전히 한국이 자리했다. 이렇게 60년 넘게 서로 눈짓했다.

공산주의 국가 쿠바가 대한민국을 독립 국가로 '승인'한 사실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어엿한 나라로 '승인'한 상태에서 '수교'만 미룬 것이다. 양국 수교 논의를 시작한 지 65년이 지난 2024년 2월 14일 그 사랑이 맺어졌다. '쿠바-한국 수교'는 '북한-쿠바 수교'(1960년)이래 64년 만에 발생한 커다란 '외교적 사건'이다. 우간다 엔테베 국제공항 인질 구출 작전 영화,'엔테베 작전'을 방불케 했다.



북한과 수교한 쿠바가 우리나라와 끈을 놓지 않았다는 진실을 알기에 20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작년(2023년) 5월 과테말라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 외교부 장관이 쿠바 외교부 차관에게 정식으로 수교를 제안하였다. 수교 작전이 시작되었다.

쿠바 아바나 가정법원 건물 담벼락에 '낙서 같은 그림'이 보인다. 'En Cuban No Se Mendiga Elamar(쿠바에서는 사랑을 구걸하지 않는다).' 이 문구는 우리에게 야릇한 감정으로 밀려든다. '쿠바는 한국과 수교하자고 애걸복걸하지 않는다. 이미 오래전에 마음을 먹었으니까. 언젠가는 수교를 할 것이리라', 이렇게 들린다.



이성 간의 사랑은 조건이 필요 없지만 나라 간에는 실리가 있어야 한다. 쿠바는 경제적 목적으로, 한국은 외교적 목적으로 그 수교의 실리가 적중했다.

한국인은 쿠바와 미수교상태에서도 매년 1만4000여 명이 쿠바를 방문한다. 쿠바에서는 한국의 풍물놀이, 노래, 드라마, 영화 등에 대한 수요가 대단하다. 쿠바 국민, 특히 한국문화에 푹 빠진 쿠바 젊은이들이 한국문화 팬클럽(ArtCor)을 결성하였을 정도이다. 예정대로 2024년 10월 주한 쿠바대사관이 개설되면 쿠바 온라인 전자 비자 발급이 가능해진다.

한국-쿠바 수교 직전 쿠바 주재 북한 참사가 한국으로 망명하였다. 얼마 후 쿠바 주재 북한 대사가 북한으로 귀임하였다. 몇 개월 동안 공석으로 있던 쿠바 주재 북한 대사가 2024년 8월 쿠바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출하여 채워졌다. 북한의 충격이 어느 정도 가라앉은 듯하다.

2025년 4월 20일이면 디아즈 카넬 대통령 집권 6년째이다. 쿠바 경제가 눈에 보이는 나아짐을 보여야 한다. 한국과의 수교 1주년(2025년 2월 14일)때 나름대로 수교 성과가 드러나기를 기대한다.

쿠바 국민은 쿠바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생필품이 턱없이 부족하고 물가가 비싸 살기가 어려운 탓이다. 디아즈 카넬 대통령은 미국이 경제봉쇄정책 탓이라고 화살을 미국에 돌리고 있다. 이것은 궁극적 해결책이 아니다. 현명한 묘수를 찾아야 한다.

오늘날 지구상 자급자족이 가능한 나라는 하나도 없다. 쿠바는 니켈을 팔아 쌀과 식품을 수입해야 한다. 시장경제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쿠바는 생활물자 수입을 위해 외화가 절실하다. 원금과 이자의 부담이 없는 외화가 절실하다. 그 답이 '관광 수입'이다. 쿠바의 자연환경을 외국 사람에게 파는 것이다. 부가가치가 100%이다.

한국 사람이 쿠바에 입국하는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디아즈 카넬 대통령은 쿠바에 도착한 한국 여행객들이 환전, 숙소, 식사, 교통, 관광상품 등 관광인프라 등에 불편함이 없게 해야 한다.

개인이나 나라나 어려울 때 도와주면 평생 은인으로 남는다. 쿠바가 60년 동안 우리를 기다린 긴 사랑을 기억하러 방문하자. 양국이 '2025~2028년'을 '한국-쿠바 상호방문의 해'로 정해야 하는 이유이다.

윤기관(충남대 명예교수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