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내일] 대전 식장산 효행 설화와 중국 제남의 효당산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내일] 대전 식장산 효행 설화와 중국 제남의 효당산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 승인 2024-09-22 23:04
  • 신문게재 2024-09-23 19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2024061601001034000042491
김덕균 단장
대전 동구와 충북 옥천에 걸쳐있는 식장산(食藏山)에는 명칭과 관련해서 다양한 설화가 내려온다. 신라의 침입에 대비해서 백제가 식량을 저장한 곳이라는 이야기, 홍길동만큼이나 기행을 많이 남긴 전우치가 3년 동안 먹고 남을 먹거리와 보물을 묻어두었다는 이야기, 가난한 효자 부부의 효행에 감동한 하늘이 부부에게 내린 먹거리가 쏟아지는 밥그릇이 묻혀있어 식기산이라 했다는 이야기 등등. 이야기의 공통점은 모두가 먹거리와 관계있다.

여기서 효자 부부의 밥그릇 이야기는 아무리 전설이라도 일상적 효행이 아니기 때문에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난한 가운데서도 늙은 어머니 봉양에 빈틈이 없었던 부부에게 어린 아이가 태어나 자라면서 어머니의 밥그릇을 축내는 것을 본 남편이 "애는 또 낳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한 분뿐 아니오."라고 말하고는 어머니 봉양을 위해 아이를 땅에 묻기로 결심한 사연이다. 그리고 땅을 파는데 거기서 그릇이 나왔고 그 그릇이 바로 먹거리가 쏟아지는 밥그릇이었다는 이야기다.

비슷한 이야기가 삼국유사 효선편에 '손순매아(孫順埋兒)'란 이야기로 나온다. 내용은 대전 식장산 부부 이야기와 거의 같다. 다만 땅에서 나온 게 돌종(石鐘)이란 것만 다르다. 종은 경종의 의미로 뭔가 사연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막상 종소리를 들은 임금님이 효자 부부를 칭송하고 포상했다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내용상 사실성보다는 효를 강조하기 위한 레토릭일 가능성이 높다.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지만 효를 하면 복을 받는다는 교훈적 내용을 담았다. 그런데 이런 효행 이야기에는 원조가 따로 있다. 중국의 역대 효자들을 수록한 '24효'가 그것이다. 원나라 때 중국 고대사회의 대표적인 효자 24명을 뽑아서 만든 효행록으로 고려와 조선 사회에 깊은 영향을 준 책이다. 고려 때 편찬한 삼국유사와 효행록, 조선의 삼강행실도와 오륜행실도 등 각종 효행 서적에 이들 내용들이 그대로 실렸다. 거기에 '손순매아'와 대전 효자 부부 이야기의 원조 격인 곽거(郭巨)의 '위모매아(爲母埋兒)' 이야기가 나온다.



이 이야기가 전하는 곳은 산동성 제남시 장청현 효리(孝里) 효당산(孝堂山)에 있다. 산동사범대학 장청캠퍼스에서 가깝다 해서 찾아 나섰지만, 30km가 넘었고 차로 1시간이상 걸렸다. 역시 중국인들의 시공관념은 우리와 많이 다른 것 같다. 아무튼 찾아간 효당산은 해발 57m밖에 되지 않는 야트막한 산이었고, 산 정상 부위에 곽거의 사당과 그를 기리는 비석들이 즐비했다. 내용 가운데는 신라 사신들의 기록도 있어 이곳이 당나라 장안으로 가는 길목이었음을 알게 한다. 아마도 주변에 흐르는 황하를 이용하다가 곽거의 사당이 있는 이곳 효당산에 머물면서 자신의 이름을 남긴 것 같다. 한창 공사 중인 현장은 앞으로 이곳을 한국효문화진흥원처럼 중국 효문화진흥의 전초기지로 삼으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닌가 생각된다.

즐비한 비문들은 역대 왕조마다 효자 곽거를 칭송하는 내용들이다. 이런 효자 곽거의 사당에 들른 신라인들이 귀국 후 한국사회에 그 이야기를 전달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그리고 그 흔적이 대전과 경주에 구체적으로 남은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상적인 효행을 갖고 영향 관계를 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하지만 부모 위해 자신의 아이를 희생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상식에서도 많이 벗어나 있다. 이런 특별한 효행 사례는 어딘가의 영향 관계에서나 설명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시기상 동한 시대의 산동 곽거가 먼저이고 전승 설화로 내려오는 대전과 문헌에 남은 신라 경주가 그 다음 순서일 것이다. 경주보다 대전을 먼저 든 것은 전래루트를 감안한 판단이다. 중국 산동성 제남에서 시작된 특별한 효행설화가 대전에 흔적을 남기고 경주에 영향을 주며 기록으로 남았을 가능성이다. 이를 감안한 한중효문화 교류의 구체적인 흐름과 내용도 살펴볼 필요성을 절감한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1.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2.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