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권 2025 수시 경쟁률 상승요인 "고3 수험생 일시적 증가"… 충남대 최저학력 완화 효과도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전권 2025 수시 경쟁률 상승요인 "고3 수험생 일시적 증가"… 충남대 최저학력 완화 효과도

대전권 수시지원자 12만 417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 3139명↑
고3 수험생은 41만 123명… 지난해 비해 1만 1852명 증가

  • 승인 2024-09-22 16:33
  • 신문게재 2024-09-23 6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충남대 입시 주요 변경사항
2025학년도 충남대 수시모집 주요 변경사항 캡쳐.
2025학년도 4년제 대학 수시모집이 막을 내린 가운데 대전권 대학 경쟁률은 비교적 선전했다는 평이다. 지난해에 비해 수시 경쟁률이 상승했지만 해마다 줄어드는 학령인구에 따라 경쟁률은 점차 떨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22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2025학년도 대전권 4년제 대학 수시지원 인원은 12만 417명으로 지난해 9만 7278명보다 2만 3139명 늘었다.

대부분 대학들은 고3 수험생이 일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경쟁률도 상승한 것이라 보고 있다. 올해 1월 교육부가 공개한 2023년 초·중·고 학생 수 추계 보정 결과를 살펴보면, 고3 수험생 수는 2023년 39만 8271명에서 2024년 41만 123명으로 1만 1852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025년까지 고3 수험생 수가 45만 672명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2026년 42만 6838명, 2027년 40만 8628명으로 해마다 고3 수험생이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어 대학 전체 모집인원 축소 또는 입시 경쟁률이 점차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충남대는 수험생 일시적 증가와 함께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한 효과도 봤다. 충남대는 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전형 탐구영역을 2과목에서 1과목으로 축소했다. 다만 약학대, 의과대, 수의과대는 과학탐구 2과목을 반영한다.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한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지난해 8.8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한문학과가 이번 수시모집에서 23.75대 1을 기록하며 최고경쟁률 학과로 수직 상승했다. 또 지난해 7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기계공학부도 올해 11.04대 1로 올랐다.

한밭대는 2020학년도 모집 때부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배제한 바 있다. 한밭대 수시모집 경쟁률은 2023학년도 6.01대 1, 2024학년도 6.91대 1, 2025학년도 7.63대 1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목원대와 한남대, 배재대 등 지역 사립대학도 대부분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수시모집을 진행해왔다.

대전대는 지난해까지 모든 학과에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했지만 2025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한의예과와 군사학과에만 기준을 적용할 방침이다.

충남대 입학처 관계자는 "주요 전형 중 교과 전형의 경쟁률이 많이 오른 편이라 최저학력 기준 완화가 많은 역할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의 관계자는 "수시 모집 경쟁률에 큰 의미를 두기보단 최종 등록률이 중요한 수치"라고 말했다.
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3.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4.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5.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1.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2.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3.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4.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헤드라인 뉴스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시도별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달 총전입 1만 9473명, 총전출 1만 8429명으로 순유입 1044명을 기록했다. 순이동률 0.9%인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국에서 대전이..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