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나는 대수롭지 않은 일을 할 것이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나는 대수롭지 않은 일을 할 것이다”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 승인 2024-10-28 10:31
  • 신문게재 2024-10-29 19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조훈성 연극평론가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얼마 전, 지역 극단에서 <돼지와 오토바이>(이만희 작, 권영국 연출)를 무대에 올렸다. 오래전 작품이지만 희곡만 봤지 그 무대는 번번이 놓쳤는데 이번에 다행스럽게 극장에서 작품을 챙겨볼 수 있었다. 연극은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은 인물의 구원과 희망을 말하고 있는데, 극 중 '돼지와 오토바이'에 대한 이야기는 인상적이다. '씨돼지'가 '오토바이'를 타면 '암퇘지'에게 갈 것이라고 직감하여 흥분하게 되는데, 실상은 돼지의 '희망'과는 다른 불확실한 행선지로 향한다는 것이다.

험난한 인생의 풍파 속에서 우리는 어디로 향할지 모르는 내일과 그 연속된 도정 가운데 선택의 고뇌를 거듭해야 한다. 대개의 삶은 그 물밀 듯 닥쳐올 '시련'의 연속이며 그 '시련'의 견딤은 '사람'에 있다는 것, 그 곁의 '사랑'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 멜로적인 휴머니즘의 진부함은 사실 우리 인간 존재의 본질이 아닐 수 없다. "알 수 없는 내일, 그래도 삶"이라는 메시지를 나는 오늘의 연극을 바라보면서 곱씹게 된다. 극 중 사내가 말한 '낙상(落傷) 매'가 가리키는 것처럼, 구렁 속을 구르면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길어 올리는 삶, 갈등과 시련의 절망 속에서 오늘의 무거운 공(球)을 버텨내며 언덕 위로 굴리고 굴려서 오르는 삶이야말로 값지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대전어린이청소년연극제'가 여덟 살이 되었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있는 연극제가 있다는 것이 참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오늘의 '풍경소리'의 글처럼 대전 시민이 얼마나 이 축제를 많이 알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누가 읽든, 누가 보든 우리의 삶은 자신이 마땅히 해야 할 것이라고 믿는 과업을 정하고 묵묵히 걸어가야 하는지도 모른다. 중촌동 '대전형무소 터'의 우물을 배경으로 굴곡진 세월을 묵묵히 견뎌온 우물(달정이)과 버드나무(버들이)를 통해 전쟁의 잔혹함에 대한 이야기를 극화한 폐막작 <달정이와 버들이>(김미정 작, 김수진 연출)를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 홀에서 만난다. 함께 보러 간 딸애에게 우물 아래에서 올려다본 세상을 그려낸 듯한 공연 포스터를 애써 설명한다. 역시 어린 딸에게는 이 이야기가 무섭고 슬프다. 하지만 이제 아이에게도 말해줘야 할 것 같다. 세계는 아름답고 희망에 차 있지만은 않다고 말이다. 부조리하며 무시무시하고 비극적인 오늘의 세계가 오히려 더 가깝게 볼 수 있지는 않느냐면서 말이다.

올해 2회째 치러졌다는 '서산 인물 극 페스티벌'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논하는 심포지엄에 다녀온다. 모든 축제가 그렇듯, 결국은 사람이 있어야 하고, 재원이 있어야 하고. 축제를 벌이는 게 참 쉽지가 않다. 예술가들은 상생을 꿈꾸지만 '희망'과 '현실'은 다르다. 을, 아니, 병, 아니, 정…. 지원이라는 명목 하에 '축제'의 존속은 계속하자니, 안 하자니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딜레마에 있다. 이제 지원 없는 예술제는 불가능한지도 모르겠다. '지원이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축제 만들기'를 위한 방안들을 읽어 가는데 자꾸 말미가 흐릿흐릿해진다. 빗길,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흐릿흐릿하다. 와이퍼로 닦아낸들 금세 흐릿해지는 저 앞길. 추월 차로로 쌩쌩 달려가는 앞선 차들이 대단해 보인다. 길이 훤하니 저리 휙 앞서 가버리는 것이겠지.



정신없이 안팎을 다니는 와중에, 지역의 한 극단의 마지막 공연날짜를 까마득히 잊고 있었다. 요새는 공연일이 길어봐야 일주일 정도니 조금 늦게 알면 일정을 놓치기가 쉽다. 창작 초연이다 보니 꼭 챙겨볼 작품이었는데, 놓치고 나니 아쉽기 짝이 없다. 남들 보기에, 연극 작품 한 편 놓쳤다고, 뭐 대단한 일인가 할 수 있다. 밥 먹다가 숟가락을 놓고 한숨을 쉬는 나를 바라보는 짝꿍의 시선도 뭐 다르진 않다. 연극 보는 게 무슨 큰 밥줄이 아닌 것을 알아버린 지 오래되었지만, 나는 우리 생활이란 게, 그 대수롭지 않은 수많은 일이 모여 있으면서, 대수롭지 않은 일들을 대수롭게 여겼으면 하는 바람을 지니고 있다. 내일도 나는 그 대수롭지 않은 일을 할 것이다. 왕복 예닐곱 시간 족히 걸리는 남도행의 지도를 펼친다. 도로 위에서 대수롭게 여길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져보려 얼마나 무던히 애를 쓸 것인가. 장흥 가는 길 차창을 열고 찬바람을 맞는다. '씻김', 그 생의 묵은 얼룩들을 틈틈이 잘 덜어야 돌아갈 때 좀 쉬이 갈 수 있을 것인데, 어찌 그 욕심은 덜지 못하고 더해만 가는 듯하다. 조훈성 연극평론가·충남시민연구소 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