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고용 한파' 매섭다… 충청권서 홀로 고전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고용 한파' 매섭다… 충청권서 홀로 고전

절대적 비중 높은 서비스업 중심 고용 위축… 취업자 수 감소 등 각종 지표 역행
세종과 충남·북 고용지표 등 소폭 개선

  • 승인 2024-11-13 16:10
  • 신문게재 2024-11-14 5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캡처
충청지역 고용동향.(자료=충청지방통계청 제공)
대전 고용시장 한파가 매섭다. 충청권에서 홀로 고용지표가 하락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서비스업 비중이 절대적인 대전에서 해당 업종의 고용 위축은 지역 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13일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대전의 취업자 수는 78만 4000명으로, 전년동월과 비교해 2만 명(-2.5%) 감소했다. 고용률은 60.2%로 지난해보다 1.8%포인트 하락했으며, 15~64세 고용률도 66.4%로 1.7%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실업률은 2.5%로, 0.3%포인트 상승했다. 총 실업자는 2만 명으로 일 년 동안 2000명(10.9%) 늘었다.

대전 고용시장을 크게 위축하게 만든 산업은 각종 서비스업이다. 특히 대전에 많이 분포한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의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4만 1000명(-5.7%) 감소했다.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의 취업자 수도 지난해보다 -4.1%(4000명) 하락했다.

이와 달리 세종과 충남·북의 고용지표는 비교적 순항했다.



세종의 고용률은 66.3%로 전년 동월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 취업자는 3000명(1.6%) 늘어난 21만 4000명을 기록했고, 15~64세 고용률은 69.7%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포인트 올랐다.

충남지역 고용률은 66.8%로 전년 동월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취업자는 130만 8000명으로 1년 동안 2만 7000명(2.1%) 늘어났고, 실업자는 2만 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00명(-12.5%) 감소했다. 실업률은 1.9%로 전년동월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충북의 고용시장도 양호했다. 10월 고용률은 전년 동월보다 0.2%포인트 떨어진 66.2%로 집계됐지만, 취업자는 95만 6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000명(0.2%) 늘어나면서다. 다만, 같은 시기 15~64세 고용률은 71.4%로 0.2%포인트 하락했다.

전국적으로는 내수와 밀접한 도소매업과 건설업 등에서 고용 위축 현상이 두드러졌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14만 8000명 줄었고, 건설업도 9만 3000명 감소했기 때문이다.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는 2021년 7월(-18만 6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도소매업은 8개월, 건설업은 6개월 연속 각각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도소매업 관련 "소매 취업자 감소 상황이 도매까지 확장된 경향이 있다"며 "임금 근로자 외 자영업자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3.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3.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5.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창당 이후 '성 비위' 논란에서 촉발된 내부 갈등으로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조국혁신당. 9월 11일 당무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될 조국 전 대표가 구원 투수로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갑년 세종시당위원장과 강미정 전 대변인 등의 탈당에 이어 중앙당 지도부가 지난 7일 총사퇴했음에도, 당장 세종시당 등 당내 정비는 숙제로 남겨져 있다. 세종시당 전 운영위원들은 지난 8일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최근 결정 2건에 대한 재심 청구서를 제출했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의 징계 청원 기각(사건번호 2025윤리16) △세종시당..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