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월 5일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에서 청소관리자가 누군가 숨겨놓은 휴지를 치우고 있다.(사진=이승찬 수습기자) |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만났다. 대전 위생처리장이 화장실에서 유입된 물티슈와 담배꽁초, 나뭇가지 등으로 처리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일선 공중화장실의 이용실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취재진이 확인한 화장실은 관리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열악했다. 채워 넣은 휴지와 비누는 빠르게 사라졌고 변기는 각종 이물질로 자주 막혔다. 사용 흔적을 남기고 가는 시민들 때문에 청소를 거듭해도 깨끗한 상태는 오래가지 않았다.
청소 관리자 A 씨는 "아침에는 술을 마신 뒤 버려진 쓰레기로 바닥이 난장판이 된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그는 "휴지통을 두지 말라는 지자체 지침에도 손을 씻은 뒤 휴지를 쓰는 사람이 많아 결국 다시 비치할 수밖에 없다"며 "누군가 휴지를 통째로 가져가거나 과도하게 낭비해, 한 화장실에서만 16개 입 휴지 박스를 한 달에 30상자 이상 쓴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통시장 주변 공중화장실은 유동인구가 많아 금세 더러워지고, 청소 노동자들끼리도 근무를 기피할 정도"라며 "청소 도중 이용객과 시비가 붙는 경우도 있고 겨울철에는 노숙인이 박스를 깔고 바닥에서 잠을 자는 일도 잦다"고 덧붙였다.
장소를 옮겨 만난 대전의 한 공원 공중화장실 관리자 B 씨도 "매일이 예측 불가능한 고충의 연속"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는 "벽이나 바닥에 변을 묻히고 가는 경우가 많아 청소하기 버겁다"며 "변기에는 음료 뚜껑, 아이스크림 막대, 물티슈가 버려져 자주 막히고 청소 직후에도 허탈함을 느낄 때가 많다"고 전했다. 또 여성 미화원이 남자 화장실을 청소할 때 일부 이용자가 불쾌감을 주는 행동을 해 곤란을 겪는 일도 있다고 설명했다.
두 관리자는 공통적으로 시민들의 기본적인 배려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대다수 시민은 에티켓을 지키지만, 일부 몰상식한 행동이 현장을 더 힘들게 한다"며 "공중화장실은 모두가 함께 쓰는 공간인 만큼, 시민들이 조금만 더 관심을 갖고 깨끗하게 이용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국가통계포털 지표누리에 따르면 대한민국 시민의식 평균 점수는 7점 만점에 2022년 5.6점에서 2023년 5.3점, 2024년 5.2점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수치는 공중화장실 이용 문화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이승찬 수습기자 dde06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