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마을 지원조직 폐지 논란...시민대책위로 확산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마을 지원조직 폐지 논란...시민대책위로 확산

시민대책위, 11월 18일 오후 기자회견 열어 출범과 함께 투쟁 예고
풀뿌리 민주주의 위협, 시와 시의회의 미흡한 대응 문제 지적
대시민 사과 등 4대 요구사항 제기...마을민주주의 정상화 촉구

  • 승인 2024-11-18 15:19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1118_140223823_01
세종시민대책위가 11월 18일 오후 중간지원조직 폐지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대책위 제공.
세종 사회적경제공동체지원센터(이하 공동체센터)에 이어 도시재생센터마저 폐지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역 사회의 정상화 목소리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마을 민주주의 세종시민대책위원회(이하 마을 대책위)는 11월 18일 오후 2시 보람동 시청 브리핑실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마을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세종시민의 선언에 나섰다.

대책위에는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와 환경운동연합, 세종 YMCA, (사)세종 YWCA, 세종교육희망네트워크, 참교육 학부모회 세종지부, (사)세종여성, (사)세종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장남들보전시민모임, 세종통일을만드는 사람들, 세종마을교육협의회, 세종보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마을지원단, 세종여성살림터복숭아공동체, (사협)마을과복지연구소, 세종우리밀, 세종사회적경제공동체센터,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가 동참했다.

마을 대책위는 "최근 세종 사회적경제공동체지원센터의 폐지와 관련, 여러 모임에서 다양한 대책 마련 및 회견, 성명서 발표가 잇따르고 있다. 도시재생센터도 폐쇄 수순에 놓여 있다"라며 "행정이 이를 대신해 업무 일부를 담당하거나 산하 기관에 공동위탁을 하겠다고 한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주민자치나 공동체, 협동조합, 청년, 여성, 청소년 등의 정책사업을 민간위탁하는 이유도 다시 설명했다.

대책위는 "이들 분야는 고유의 전문성을 요구받는다. 인사이동 때마다 수시로 담당자가 바뀌는 행정이 맡기에는 분명한 한계점이 있다"라며 "주민들은 중간 지원기관을 통해 요구사항을 전하고, 중간지원기관은 주민들의 용어로 행정과 연결한다. 그러면서 한걸음씩 내가 사는 동네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대책위 구성 배경도 위·수탁이란 단편적 문제에 있지 않음을 분명히 했고, 세종시의 잘못된 답변과 시의회의 미흡한 검토에 대한 문제제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이 때문에 세종시마을공동체지원센터 운영 민간위탁(재계약) 동의안이 부결되고 폐지라는 초유의 사태를 가져온 만큼, 이는 단순한 행정 절차의 문제가 아니라고 봤다. 지역사회의 신뢰를 저버리고, 주민 자치와 지역 공동체 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규정하고, 앞으로 중단 없는 투쟁을 예고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 이후 전국적으로 진행 중인 중간지원조직 축소 및 민간위탁 폐지 흐름과 다르지 않다"라며 4대 요구사항으로 투쟁 의지를 다졌다.

▲시와 시의회의 대시민 사과 촉구 : 공동체 활동에 큰 혼란 초래, 행정과 시민 간 신뢰 훼손 ▲세종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 운영 민간위탁(재계약) 동의안 부결 과정의 절차상 문제점 재검토 및 시정 ▲전문성과 유연성을 요구하는 마을공동체지원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등 중간지원조직 유지 ▲당사자 조직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으로 마을 민주주의 가치 구현 등을 촉구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2.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3.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4.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5. 대전 서남부권 특수학교 '서남학교' 교육부 중투심 통과

헤드라인 뉴스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두고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세금 문제에 대해서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지난 기자 간담회 과정에서 (밝힌 것처럼)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보유세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에서 윤종오 진보당 의원은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대체로 0.15% 이내 수준으로 OECD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국제 수준에 맞추려면 보유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