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2031년 세종시 이전...12월 청사진 나온다

  • 정치/행정
  • 세종

국립민속박물관, 2031년 세종시 이전...12월 청사진 나온다

문체부, 2024년 9월 공모 스타트...12월 23일 당선작 발표, 24개월 간 설계
세종동 국립박물관단지 2단계 5만㎡ 부지 내 1981억 원 투입
2030년 완성기 넘긴 2031년으로 이전 지연은 여전한 숙제

  • 승인 2024-11-26 14:11
  • 수정 2024-11-26 14:20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국립민박 위치
국립민속박물관 세종 이전 사업 대상지. 사진=국립민박 제공.
서울 종로구 소재 국립민속박물관(이하 국립민박)의 세종시 이전이 2024년 12월 본궤도에 오른다.

코로나19 이전부터 구상 당시 2026년 전·후에서 2031년까지 완공 시기가 미뤄진 점은 여전한 숙제로 남겨져 있다.

행복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 청장 김형렬)은 11월 26일 최형욱 시설사업국장 주재로 온라인 기자 브리핑을 갖고, 이와 관련한 진행 사항을 공유했다.

국립민박의 이전 대상지는 세종시 세종동(S-1생활권) 국립박물관단지 2단계 구역(12만㎡) 내 약 5만 815㎡ 부지다. 2023년 12월 6일 세종시 이전 계획에 대한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결과로 반영됐고, 총사업비는 1981억 원, 연면적은 2만 3473㎡ 규모다. 올해 부지 매입을 위한 계약금과 건물의 공간 구성 등 건축 프로그램 용역비,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위한 관리용역비 등이 증액되면서, 실질적인 이전 작업 과정에 놓여 있다.



민박의 청사진은 지난 9월 시작된 국제현상공모에 따라 오는 12월 23일 당선작 발표로 첫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당선작으로 선정된 건축사는 2026년까지 24개월 간 설계기간을 거쳐 민박의 완성체를 내보이게 된다.

서울 종로구 민박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여기에 ▲이전 대상 부지 내 어떤 위치와 형태로 구현 ▲건물 내 공간 영역 구성 및 설정에 대한 건축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연구 용역 ▲전시와 수장, 교육 등 박물관에 필요한 공간 구성에 대한 기획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새로운 청사진을 담아낼 민박 부지를 한국 민속문화의 거점으로 만들어가겠다는 구상을 내놓고 있다. 한국과 세계의 민속문화를 수집·보존·연구·전시하는 대규모 복합 문화시설로서 상설과 기획 전시실, 어린이 전시실, 수장고 등을 갖추게 된다.

행복청 관계자는 "국립민속박물관은 총 12만㎡ 부지의 2구역에서 2031년 제일 먼저 개관한다. 금강과 제천이 흐르는 수변 공간을 활용해 전통문화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형태의 전시와 프로그램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체부 관계자는 "세종시에서 새롭게 문을 여는 국립민속박물관은 국토 중남부권의 핵심 문화시설로서 지역민들에게 더 많은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하는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세계로 열린 창이 돼 세계를 이끌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데 무한한 영감을 주는 장"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립민박 이전안은 2020년 문재인 정부부터 추진해왔으나 수도권 문화예술계 반발에 막혀 이전 시기를 크게 늦춘 2031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2.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3.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4.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5. 대전 서남부권 특수학교 '서남학교' 교육부 중투심 통과

헤드라인 뉴스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개인 의견 전제로 보유세 인상 공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두고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세금 문제에 대해서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진행되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지난 기자 간담회 과정에서 (밝힌 것처럼)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보유세 인상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에서 윤종오 진보당 의원은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대체로 0.15% 이내 수준으로 OECD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며 "국제 수준에 맞추려면 보유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