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대전의 심장 3대 하천, 관광 수상스포츠 도시로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 대전의 심장 3대 하천, 관광 수상스포츠 도시로

이주일 대전시체육회 기획조정본부장

  • 승인 2024-12-02 14:27
  • 신문게재 2024-12-03 18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사진
이주일 기획조정본부장
대전시는 최근 3대 하천에 무려 2조 7000억 원을 투입하는 매머드급 그랜드플랜을 제시했다. 사업 기간이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이르는 장기플랜이다.

3대 하천 준설은 대전의 시급한 과제임에도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했다. 하천 곳곳은 떠밀려온 토사와 퇴적물이 쌓일 대로 쌓여 아예 인공섬을 볼 수 없는 수준이다. 쌓인 토사와 인공섬은 하천 본연의 유속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장마철에는 급격한 범람의 주범이며,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인재사고로까지 발생한다. 특히 토사가 하류로 내려와 퇴적층이 하상도로와 수평을 이루고 있어 위험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물결이 합쳐지는 갑천수상스포츠장 주변은 노를 저으면 바닥이 닿을 정도다. 이로 인해 수상스포츠장도 본연의 역할을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뭄이 지속하면 곳곳의 퇴적층이 수면 위로 올라와 라버댐의 구실을 못할뿐더러 도심 주변 미관에도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예로부터 치산치수는 임금님의 덕목이라고 했다. 이장우 시장은 지금의 3대 하천을 이대로 방치하지 않겠다고 강한 어조로 피력했다. 그 어떤 시정 사업보다도 반가운 메가톤급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노후화된 낡은 하천을 간헐적 정비개념이 아닌, 혁신적이고 건강한 패러다임으로 건설하겠다는 의지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운하 개념의 새로운 발전을 생각해 보았다. 외국의 운하를 살펴보면 파마나 운하는 거대한 산을 깎아 태평양과 대서양 관통시켜 물류비를 대폭 인하했다. 아라비아반도인 수에즈 운하도 홍해와 지중해를 연결시켜 유럽의 발전을 가속화했다.

대전 3대 하천 운하는 크고 인위적으로 파헤치며 건설하지 않아도 된다. 즉 환경과 자연 훼손 없이 현재 있는 그대로 운하 번식이 아닌 준설 자체만 해도 대전천, 갑천, 유등천이 상호 운하연결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준설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1년 365일 꽉 들어찬 도심 속 푸른 물결 자체가 시민들의 정서를 편안하게 해줄 것이다. 즉 물결 하나가 대전 이미지를 완전 탈바꿈 시킬 것이다.

특히 수상스포츠 종목인 카누, 조정, 요트, 용선, 철인3종 등 도심 속 물결을 가르며 선수들이 훈련에 매진할 수 있다. 대전레이크파크 페스티벌행사로 역동적인 수상 힐링 도시로 변모할 것임을 자명하고, 이제는 강 주변을 중심으로 발전이 속도가 낼 것임에 틀림없다.

0시 축제와 연계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야외휴게시설과 경관조명, 성심당, 예술보행다리 등 24시간 살아 숨 쉬는 '1000만 명 관광도시 대전' 대전의 베니스를 만들어 보자. 친환경 유람선(소형크루즈)과 조상의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나룻배 운영, LED를 탑재한 카누 개발 등도 얼마든지 운영이 가능하다.

3대 하천은 대전의 소중한 자원이자 보배다.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무한대의 가능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대전천의 상류인 동구 산내 주변부터 건천 1m정도만 준설한다면, 대전천 상류와 갑천의 수심이 수평을 이루는 관계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연중 푸른 물결이 넘실대는 운하가 생기고 유람선이 떠다니는 풍요로운 내륙수상 도시로 탈바꿈 할 것이다.

강물 하나만 제대로 잘 살리고 마케팅한다면 '노잼도시'의 오명을 씻고 대전의 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매년 개최되는 대전 0시 축제와 2027년 하계유니버시아대회 관광객 유치도 절호의 기회다. 준비를 잘 해낸다면 3대 하천 주변은 상전벽해가 되어 관광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다.

강물을 잘 활용해 관광명소가 된 체코 프라하의 카롤다리, 1000만 명의 관광객이 넘치는 미국 샌안토니오의 인공 강물처럼 3대 하천을 거대 상품화해 연중 관광객 세계 1위의 3대 하천이 되도록 대전시민 모두가 지혜를 모아 건설했으면 한다.

/이주일 대전시체육회 기획조정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쪽방촌 재개발 보고서] 쪽방보다 못한 임시주거지...노후 여관촌 뿐 "밥도 못먹어"
  2. 대전지역 전공의 지원 '한 자릿수'… 지방대학병원 후폭풍 지속
  3.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금 전달책 외국인 '징역 3년'
  4. 미세먼지 유입에 뿌옇게 보이는 대전
  5. [사설] '착한 선결제'로 골목상권에 힘 보태자
  1. 제2회 전국 연날리기 대회...세종시 이응다리서 열린다
  2. ‘바쁘다 바빠’…설 앞두고 분주한 떡집
  3. 한남대 COSS 등 전국 5개대학 공동주관 '2024년 컨소시엄 성과포럼' 성료
  4. 대전대 LINC 3.0 사업단 제18차 한의약산업화협의회
  5. 한국건강관리협회, 기생충 이어 C형간염 퇴치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안해"…尹, 헌재서 탄핵사유 모두 부인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안해"…尹, 헌재서 탄핵사유 모두 부인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계엄 당시 국회의원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 없다”고 주장했다. 최근 불거진 이른바 ‘최상목 쪽지’에 대해서도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최상목에 준 적 없다"고 했다. 전화를 통해 윤 대통령의 직접 지시를 받았다는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의 진술과 윤 대통령으로부터 쪽지를 받았다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발언을 모두 부인한 것으로, 모르쇠로 일관했다. 이날 오후 2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3차 변론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국가 비상입법기구 예산 쪽지를 (당시)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에..

충남 천안·당진 962억 투자, 글로벌 기업 공장 들어선다
충남 천안·당진 962억 투자, 글로벌 기업 공장 들어선다

충남도가 외자 유치 협약을 통해 당진과 천안에 글로벌 기업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등 900억 원 이상이 투자된다. 21일 충남도 김태흠 지사는 강수환 지오스에어로젤 대표, 토르스텐 노왁(Torsten Nowack) 씨카코리아 대표이사, 오성환 당진시장, 김석필 천안부시장과 각각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천안과 당진에 한화 962억 원 규모인 총 6700만 달러를 투자해 새로운 제조시설 설립한다. 도와 천안시, 당진시는 이들 기업이 제조시설 설립을 완료할 때까지 각종 인허가 등 행정 절차를 적..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완전 이전 수준 검토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완전 이전 수준 검토

대통령 세종 집무실이 서울 용산에서 완전 이전이 가능한 수준으로 준비될 전망이다. 행복도시건설청은 2025년 1월 21일 오후 업무계획 자료 배포를 통해 실질적 행정수도 완성 로드맵을 설명했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은 2025년 1분기 현재 공공건축 심의와 사업계획 사전 검토 등의 절차에 놓여 있고, 세종동(S-1생활권) 국가상징구역(210만㎡)과 통합 공모로 추진 동력을 얻고 있다. 집무실 위상은 서울 용산에 이은 제2집무실 성격으로 우선 부여했고, 총사업비는 3836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체 15만㎡ 입지에 대통령 관저와 경..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사랑의 온정을 나눠요’ ‘사랑의 온정을 나눠요’

  • 올해도 관리비 폭탄 ‘후덜덜’ 올해도 관리비 폭탄 ‘후덜덜’

  • ‘바쁘다 바빠’…설 앞두고 분주한 떡집 ‘바쁘다 바빠’…설 앞두고 분주한 떡집

  • 미세먼지 유입에 뿌옇게 보이는 대전 미세먼지 유입에 뿌옇게 보이는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