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서울역 열차 출발 안내판에 운행 중지 안내가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DB |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9시 기준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열차 운행률은 76.6%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대체인력 등을 투입해 열차를 운행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전철 81.0%, KTX 78.5%, 여객열차 73.6%, 화물열차 16.3%가 운행 중이다.
최종 운행률은 총파업 첫날인 5일 74.7%에서 6일 70.1%, 7일 70.7%, 8일 71.6%로 비슷한 운행률을 보였다. 이날 출근대상자 2만7810명 중 파업참가자는 8030명으로 파업참가율은 28.9%로 전일대비 0.4% 증가했다.
코레일 노사는 총파업 이후 교섭 재개가 불투명해지면서 파업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에서 국정 운영 동력을 상실해 철도파업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날 철도노조 등에 따르면 현재 코레일 노사는 총파업 이후 예정된 교섭접촉은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날 오후 서울역에서 철도파업을 지지하는 정당, 시민사회단체와 문화제를 진행한다. 노조 관계자는 "철도 최고의 가치가 안전인 만큼, 현재 근무 중인 필수 유지 업무 조합원 9000여명에게는 안전을 최우선 순위로 삼아달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상을바꾸는대전민중의힘, 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전지역대학생공동체 궁글림 등 지역 시민·종교·노동계 등 총 42개 단체와 정당들도 철도노조 파업을 지지하고 나섰다.
철도노조는 기본급 2.5% 인상과 임금체불 해결, 성과급 지급률 개선, 부족 인력 충원, 4조 2교대 근무 전환 등을 요구하며 5일 오전 9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코레일은 평일 출퇴근길 전철·KTX 등을 이용하는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자체적으로 마련한 비상 수송대책 이행에 전력을 기울이는 한편,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안전 확보와 혼잡도 관리에 나서고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