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설 차례상 성수품 가격 강세 지속... 지역민 부담 커져간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설 차례상 성수품 가격 강세 지속... 지역민 부담 커져간다

배추 1년 전보다 62%, 무도 89.1%나 각각 급등
수산물도 고등어와 물오징어 등 대부분 상승세
과일류도 사과 26%, 배 46% 각각 인상되며 부담

  • 승인 2025-01-19 11:50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과일사진
대전의 설 차례상 성수품 가격 강세가 지속되면서 지역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설 연휴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고물가와 불황에 한숨이 깊어진다.

1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7일 기준 대전 배추 1포기 소매가는 4530원으로, 1년 전(2785원)보다 62.66% 인상됐다. 2020년부터 2024년 가격 중 최고·최소 가격을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인 3410원보다는 32.84% 비싸다. 지역 무 1개 소매가도 17일 기준 2740원으로, 1년 전(1449원)보다 89.1%나 급등했다. 평년가격(1843원)보다는 48.67%나 오른 수준이다. 수산물도 강세다. 국민 생선으로 통하는 고등어(국산 염장·중품)은 17일 기준 한 손에 7065원으로 1년 전(4614원)보다 53.12%, 평년(3941원)보다는 79.27%나 상승했다. 물오징어(연근해·냉장)도 17일 기준 7763원으로 2024년 1월 17일(6885원)보다 12.75%, 평년(6918원)보다 12.21% 각각 비쌌다. 대표적인 설 선물용인 김(마른김·중품)은 10장에 1530원으로, 1년 전(1047원)보다 46.13%, 평년(938원)보다는 63.11% 상승했다.

과일류도 크게 치솟으며 부담을 주긴 마찬가지다. 대전 사과(10개·후지) 소매가는 17일 기준 3만 3867원으로 1년 전(2만 6802원)보다 26.36% 올랐으며, 평년(2만 6247원)보다는 29.03% 상승한 수준이다. 배(10개·상품)도 17일 기준 4만 6800원으로 전년(3만 1941원)보다 46.52%, 평년(3만 2766원)보다는 42.83% 각각 인상됐다. 성수품 대부분의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면서 주부들의 근심도 커지는 상황이다. 주부 김 모(61) 씨는 "매년 차례상을 준비하는데 가격이 오르고 있어 지갑이 얇아져 가는 상황인데,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며 "일 년에 몇 번 안되는 차례상 차리기에도 부담이 갈수록 커지니 가짓수를 줄여야 하나 고민"이라고 말했다.

성수품 가격 상승에 설 차례상 비용도 2024년 설보다 더 들어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 할인 지원과 대형마트의 할인 판매가를 모두 반영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조사에서 설 차례상 준비 비용은 평균 20만 3349원으로, 1년 전보다 3.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당초 지원 계획보다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우선 전통시장에서 쓸 수 있는 제로페이 농할 상품권을 66억원 규모로 추가로 발행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축산물 할인 지원 규모를 600억원에서 700억원으로 확대하고, 할인 지원 대상 품목도 28개에서 31개로 늘렸다. 여기에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설 성수기 물가 안정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다음 달 4일까지 국내 주요 식품기업 16곳과 함께 대규모 할인전을 열고 장류, 두부 등을 최대 50% 저렴하게 판매하기로 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3.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3.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5.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창당 이후 '성 비위' 논란에서 촉발된 내부 갈등으로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조국혁신당. 9월 11일 당무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될 조국 전 대표가 구원 투수로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갑년 세종시당위원장과 강미정 전 대변인 등의 탈당에 이어 중앙당 지도부가 지난 7일 총사퇴했음에도, 당장 세종시당 등 당내 정비는 숙제로 남겨져 있다. 세종시당 전 운영위원들은 지난 8일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최근 결정 2건에 대한 재심 청구서를 제출했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의 징계 청원 기각(사건번호 2025윤리16) △세종시당..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