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푸른 뱀의 해를 맞은 올해에 대한 기원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푸른 뱀의 해를 맞은 올해에 대한 기원

송기한 대전대 교수

  • 승인 2025-02-10 10:50
  • 신문게재 2025-02-11 19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송기한 대전대 교수
송기한 대전대 교수
올해(2025년)는 뱀의 해이다. 한 해를 뱀의 해라고 하는 것은 순전히 동양식 연도 표현의 방식이다. 동양은 연도를 육십갑자로 하는데,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조합을 통해서 60개의 명칭으로 만들어진다. 천간은 10개이고, 지지는 1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둘의 조합으로 60년 주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나이가 60되면, 자신이 태어난 연도와 동일한 육십갑자가 되는 까닭에 이를 두고 회갑(回甲)이라고 한다.

올해는 뱀의 해이지만, 특별히 '푸른 뱀'의 해라고 한다. 을사년(乙巳年)의 천간 '을(乙)'이 오행에서 말하는 나무(木)에 해당하며, 나무는 푸른색이기에 그런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다.

'푸른 뱀'의 상징적 의미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양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뱀은 비교적 긍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구렁이 각시'의 설화나 남편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구렁이가 되어 약초를 물고 왔다는 각시섬의 전설 등에서 보듯 뱀은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 가운데 하나였다.

하지만 서양의 경우 뱀은 동양과 달리 그렇게 친숙한 동물이 아니었다. 서구에서 뱀의 존재성을 가장 극명하게 말해주는 것은 에덴동산의 신화이다. 하나님의 천지 창조 이후, 지상의 모든 생명체는 에덴 동산이라는 공간에서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유토피아적 평화의 세계를 파괴한 것은 잘 알려진 대로 '뱀'과 그것이 벌인 '유혹의 담론'이었다.



하나님은 에덴 동산에서 모든 것을 자유로이 먹고,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단 한 가지 해서는 안되는 금지의 규칙을 만들어냈는데, 사과라는 과일을 먹지 말라는 것이었다. 이 과일은 눈이 밝아지는 과일, 선과 악을 구별하는 과일, 흔히 말하는 선악과(善惡果)였다. 만약 인간이 이 소비충동을 이겨냈더라면, 현재와 같은 원죄는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인간에게 에덴 동산이라는 유토피아, 원죄라는 덫을 씌운 것은 바로 '뱀'이었다. 그래서 뱀은 유혹의 상징이 되었거니와 서구 사회나 기독교에서 사악한 동물의 상징이 되었다.

뱀의 신화적 상상력은 이후 동양 사회에서도 빠르게 전파되었고, 그 결과 이제 그것은 동양에서도 그리 긍정적인 동물로 비춰지지 않았다. 유혹의 상징이 되었던 것인데, 이를 가장 잘 대변하는 말이 '꽃뱀'일 것이다.

우리 문학에서 이 '꽃뱀'의 상징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현한 시인은 아마도 서정주일 것이다. 그는 자신의 대표작 '화사(花蛇)'를 썼고, 이를 자신의 첫시집(1941)의 제목으로 상정하기도 했다. 서정주가 이 작품을 쓴 동기는 인간은 궁극적으로 유혹하는 존재, 혹은 유혹당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말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그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도입한 것이 에덴 동산의 신화에서 벌어진 뱀의 유혹이었다.

서정주 이후 '뱀'의 사악한 상징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침투해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 하나가 욕망의 상징이었는데, 이와 관련된 일화들은 제법 많았다. 비록 오래된 시절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아마도 필자가 중학교 시절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하교 길에 우연히 한 무리의 군중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보았다. 무슨 약을 파는 것 같았다. 그런데, 약을 파는 주체는 목에다 뱀을 두르고 있었고, 병 속의 물을 땅에 조금씩 쏟으면서 남자들의 오줌발은 이렇게 약하면 안 된다고 연신 떠들어내고 있었다. 뱀을 두르고 있어 재미있어 보이긴 했지만, 무슨 약이기에 뱀을 목에 걸쳐야 하는 것인지, 병에 뚝뚝 떨어지는 저 힘없는 물줄기가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그 이유는 나중에 알았지만.

뱀은 이렇게 우리 사회에서 욕망하는 것의 상징으로 굳어지기 시작했다. 욕망 때문에 인간은 유토피아를 잃었다고 성서는 가르치고 있거니와 다시 그 유토피아로 회귀하기 위해서 인간은 무엇보다 욕망을 다스려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단면은 비단 성서에서만 유효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올해는 뱀의 해이긴 하되 푸른 뱀의 해이다. 욕망이란 붉음이다. 푸른 색은 붉은 것을 중화시키는 기운을 갖고 있다. 그 뜨거운, 빨간 기운을 푸른 색으로 희석시켜 욕망이 절제되는 사회, 그리하여 갈등없는 사회를 기원해보는 것은 어떨까. /송기한 대전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2.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3.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4.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5.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1. 충남도 "도내 첫 글로컬대학 건양대 전폭 지원"
  2. 충남도 ‘베트남 경제문화 수도’와 교류 물꼬
  3. '디지털 정보 문해교육 선두주자' 충남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 교육부 장관상 수상
  4. 충남대-하이퐁의약학대학 ‘글로벌센터’ 첫 졸업생 배출
  5. 국내 3대 석유화학산업단지 충남 서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헤드라인 뉴스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행정수도 세종의 밑그림이 될 '국가상징구역'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대한민국 국가균형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을 포함한 국가상징구역 국제설계 공모착수 소식에 지역사회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8월 29일 논평을 통해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공모 시작은 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완공 첫발을 내디딘 것"이라며 평가하면서 "그동안 시가 조속한 건립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온 데 대한 정부의 호응이자, 행정수도 완성을 향한 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시는 그간..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세계 유일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가 9월 1일 한글문화도시 세종시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세종시(시장 최민호)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박영국)은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42일간 조치원 1927아트센터, 산일제사 등 조치원 일원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그리는 말, 이어진 삶'을 주제로 열리는 한글 비엔날레 기간에는 한글의 가치를 예술, 과학, 기술 등과 접목한 실험적인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한국, 영국, 우루과이, 싱가포르 등 4개국의 39명 작가가 참여해 한글..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김건희 여사가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29일 구속기소됐다. 전직 영부인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헌정사상 역대 대통령 부부가 동시에 구속 상태로 재판받는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앞서 내란 특검에 구속기소 돼 재판받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특검은 오늘 오전 김건희씨를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이 7월 2일 수사를 개시한 지 59일 만이다. 김 여사에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