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국민을 지키고 지역을 살리는 물그릇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국민을 지키고 지역을 살리는 물그릇

맹승진 충북대 지역건설공학과 교수

  • 승인 2025-03-10 17:20
  • 신문게재 2025-03-11 18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맹승진3 (1)
맹승진 충북대 지역건설공학과 교수
최근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기후대응댐 후보지가 포함되었다. 최적의 물그릇을 확보하여 예상되는 유역별 물 부족량과 홍수피해 잠재성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강한 우려를 제기한다. 댐 해체가 세계적 흐름이고, 기존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자연기반 해법을 통해 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현재 기후변화의 속도와 양상을 살펴보면 이러한 주장은 느긋하다. 늦기 전에 가능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2023년 봄, 전남지역은 최악의 가뭄을 겪었다. 여수 국가산단이 중단위기에 처할 정도였다. 9월에는 충청, 경북 지역에 500mm 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렸고 53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갔다. 지난해 7월 군산에는 기상관측 이후 최대인 시간당 146mm의 비가 쏟아졌고, 장마가 끝난 8월 전국이 급속히 가물면서 충남, 경북 일부 지역에 가뭄 '관심' 단계가 발령됐다. 지금도 보령, 서천 등 충남 서부지역은 가뭄 '관심' 단계에 놓여있다. 이런 상황에서 막대한 물을 소비하는 반도체와 같은 첨단산업은 더 큰 부담이다. 현재의 추세라면 2030년에는 7.4억 톤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 물 공급을 위한 기반시설이 절실하다.

댐은 가장 효과가 확실한 기반시설이다.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댐 인프라 전반을 새롭게 조율하고 있다. 효과가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노후 댐은 철거하고, 동시에 홍수방어와 안정적 수자원 확보를 위해 댐 건설을 병행하고 있다. 일본은 2020년대 들어 중단 또는 지연되고 있던 댐 사업 재추진에 돌입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피해 증가와 홍수 예방에 있어 댐의 효과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커지면서 물그릇 확대로 정책을 전환할 수 있었다. 미국도 2010년 이후 29개의 대형 댐을 건설하며 다시 댐의 시대로 진입했다. 미국에서 해체된 댐은 지난 100여년간 1900개 이상에 달하지만, 이들 모두 노후화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97% 이상이 높이 15m 이하로 규모가 작은 시설들이다.

기존 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자연기반 해법을 통한 대응은 중요하다. 그러나 한계는 분명하다. 이들만으로는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해결하기는 어렵다. 다양한 대안을 모두 조합해도 물 부족의 80% 정도까지만 감당할 수 있다. 단기간 많은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면 홍수로부터 국민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대응해 국민 안전을 지키려면 가능한 모든 방안을 동원해야 한다. 필요한 지역에 충분히 물그릇을 확보해 시너지를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당장 행동에 나서야 한다. 댐 건설은 10년 정도 소요되는 장기 사업이다. 자칫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 댐의 필요성에 대한 공론장을 열고 공동체 모두와 주민 이익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는 접점을 확대해야 한다. 특히, 기후대응댐을 기점으로 댐과 지역이 함께 번영하는 새로운 모델도 제시해야 한다. 환경이 가장 중요해진 시대에 물과 댐을 가진 지역은 보물을 가진 것과 같다. 지역이 원하는 복지문화 시설, 관광인프라, 수상태양광 등을 통해 주민소득을 높이고 사람이 찾아오는 마을을 조성하는 자원으로 댐의 가치를 재발견해야 한다.

3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댐을 다시 생각한다. 올해 국내 주제는 '기후위기 시대, 미래를 위한 수자원 확보'다. 물은 생명과 안전, 번영과 성장을 가능케 하는 근원적 자원이다. 과거 소양강댐을 필두로 우리는 물을 다스리는 능력을 키웠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을 이룰 수 있었다. 기후대응댐을 또 다른 미래로 나가기 위한 출발점이다. 모두 함께 논의를 모아 더 나은 해답을 찾아가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수부 논란 충청권서 李대통령 與 지지율 동반하락 직격탄
  2. "이번엔 될까"… 대전교도소 이전 예타 통과 추진
  3. 이재명 정부, 1차 지명 장관 후보 11명… 충청은 사실상 ‘0명’
  4.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5. [맛있는 여행] 77-그 섬에 가면…보령시 원산도
  1. 이장우 시장 "바이오 창업-멘토링, 투자 시스템 중요"
  2. [세상속으로]민생회복지원금이 왜?
  3. 아시아 축제 컨퍼런스 성료...태국 푸켓서 한국 축제 위상 확인
  4. 27일부터 대전시 123번 버스 신설
  5. 전국 고교생 웹소설 공모전… 슈퍼 루키 찾아라!

헤드라인 뉴스


전국민 민생쿠폰, 대전시 부담 800억… 지자체 부담 우려

전국민 민생쿠폰, 대전시 부담 800억… 지자체 부담 우려

이재명 정부의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을 앞두고 충청권 행정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전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자체의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 민생 쿠폰에 투입될 수백억 원의 예산까지 떠안게 되면서다. 일부 지역에서는 정부가 사업비 비율을 감당해달라는 의견까지 나오면서 조만간 전국 시도차원에서의 의견 전달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 지원금인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사업의 세부적인 방안 논의를 통해 조만간 각 지자체에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추가 경..

민주당 충청 국회의원 전원, ‘행정수도 건립 특별조치법’ 발의
민주당 충청 국회의원 전원, ‘행정수도 건립 특별조치법’ 발의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논란 속에 행정수도를 제대로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이른바, ‘행정수도 완성법안’을 발의했다. 국회의사당 분원이나 대통령 제2 집무실 등 부분 이전이 아니라 ‘완전 이전’과 함께 제2차 공공기관 이전까지 보장하는 내용을 담은 법을 제정해 체계적으로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는 의지다. 그러나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선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는 등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 일동(18명)은 24일 성명..

李,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해수부 연내 이전 검토 지시”
李,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해수부 연내 이전 검토 지시”

이재명 대통령인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24일 "해양수산부를 올해 안에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전날 부산 북구갑 전재수 국회의원을 해수부 장관 후보로 지명한 데 이어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하면서 해수부 이전이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오늘(24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이 (강도형 해수부 장관에게) 12월 안에 해수부 이전이 가능한지 검토해보라는 언급을 했다"고 전했다. 또 "절차가 어떤지, 이런 것을 보고했는데, 실용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은 '12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수 김연자, 김소연 대전경찰청 홍보대사 위촉 가수 김연자, 김소연 대전경찰청 홍보대사 위촉

  • 집중호우 대비 수난구조…‘훈련도 실전같이’ 집중호우 대비 수난구조…‘훈련도 실전같이’

  • 성숙한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대전소비자의 날 성숙한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대전소비자의 날

  • 이장우 대전시장, 민선8기 3주년 브리핑 이장우 대전시장, 민선8기 3주년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