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궤도에서 임무 중인 스피어엑스 상상 이미지. NASA 제공 |
10일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 등에 따르면 당초 한국시간 2월 28일 오후 12시 10분 발사 예정이었던 스피어엑스는 발사체와 현지 기상 사정 등을 이유로 발사 일정이 7차례 변경돼 11일 낮 발사를 앞두고 있다. 다만 현지 상황에 따라 또다시 발사 일정이 달라질 가능성은 남아 있는 상태다.
발사 일정이 계속 지연된 이유는 다양하다. 초기엔 스피어엑스가 탑재되는 발사체 이슈가 컸는데, 발사체인 스페이스X사의 팰콘9이 상승할 때 우주선이 겪는 충격을 완화하는 데 필요한 부품에 문제가 발견돼 이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 우주망원경을 싸고 있는 덮개인 페어링의 압력 장치에서 누수가 확인되기도 했다.
기상 상황도 발사 일정 지연에 영향을 미쳤다. 앞선 상황에 대한 조치를 마치고 우주망원경을 발사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돌풍 영향으로 일정을 미뤄야 했다. 발사 일정이 변경되면서 다른 우선순위 임무에 밀리기도 했다. 미국 현지시간 3월 2일 팰콘9으로 스타링크를 발사하는 미션에서 1단 로켓이 착륙 과정에서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해 이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 점검으로 연기하기도 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해 총 12개 컨소시엄 기관이 참여하는 스피어엑스 프로젝트에 국내 유일 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 천문연은 현지서 발사 일정을 기다리고 있다.
스피어엑스 한국 측 과제책임자인 정웅섭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발사장 인근 현지에서 발사를 위한 최종 준비를 마치고 계속 대기 중이다. 한국 연구자들은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우주환경을 구현하는 극저온 진공챔버와 관측 처리 소프트웨어를 빠른시간 안에 개발해 납기일을 맞췄지만 발사가 지연돼 아쉬움도 있다"면서도 "최대한 준비를 완료해 안전하게 발사하는 것이 작은 위험이라도 무릅쓰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하며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스페이스X 측에서 굉장히 세심하게 전 과정을 꼼꼼히 보고 있고 이런 과정을 거치며 늦어지고 있는데 미션을 수행하며 항상 언제든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웅섭 박사는 또 "긍정적인 면은 발사가 지연되거나 시험 운영기간이 늘어나더라도 NASA는 과학임무를 우선시 하기 때문에 정해진 임무기간 2년 동안 4번의 전천(전체 하늘) 관측을 보장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