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해정 의원<제공=창원시의회> |
사업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현 시정의 무리한 감사와 전임 시정에 대한 정치적 공세가 원인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창원시는 2020년부터 1050억 원을 투입해 수소액화플랜트를 조성해왔다.
그러나 민선 8기 시정 출범 후 감사관실이 사업 감사를 진행하며 절차가 중단됐다.
감사원은 지난해 7월 창원시의 공익감사 청구를 기각했으며, 검찰도 관련 공무원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박해정 의원(더불어민주당, 반송·용지동)은 "근거 없는 감사로 인해 수소액화사업 정상화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쳤다"며 "창원시는 하루빨리 사업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창원시 감사관실이 주식회사 하이창원의 업무에 개입해 감사를 진행한 점이 논란이다.
창원산업진흥원이 제출한 수소 구매 확약서를 두고 창원시가 대출 담보를 제공했다고 주장했으나, 해당 내용은 문서에 포함되지 않았다.
창원시는 최근 채무부존재확인 소송을 제기하며 자체 감사 결과에 문제가 있음을 시인하는 모양새다.
사업이 부도 처리될 경우 창원시는 매몰 비용과 법적 분쟁으로 큰 재정적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박 의원은 "전임 시정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사업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소도시 창원의 명성을 되찾고, 2026년까지 예정된 액화수소 충전소 건립과 같은 수소산업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창원시의회 수소액화플랜트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수소특위)가 감사관실의 입장을 그대로 따를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