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청 전경. |
도는 수도권 공공기관에 제안서를 발송하는 등 물밑작업이 한창이다.
19일 도에 따르면 앞서 3월 수도권에 남아있는 공공기관 154곳에 이전 제안서를 일괄발송했다. 이는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되기 전부터 유치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충남입장에선 양질의 기관 이전이 절실한 상태다. 2005년 1차 공공기관 이전 당시 10개 혁신도시에 112개 공공기관 이전을 결정한 바 있지만 세종시 건설로 소외돼 왔기 때문이다. 이후 2020년 충남혁신도시 지정이 있었지만 공공기관이 이전된 사례 역시 전무하다.
도는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을 공언한 중요한 시기인 만큼 지역의 경제, 산업적 특성을 면밀히 검토해 전략 수립에 나선다고 강조했다.
우선 충남은 석탄화력발전소, 석유화학단지가 밀집돼 있기 때문에 한국탄소중립진흥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기후 환경, 탄소 중립에너지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특성에 맞다는 설명이다. 또 17개 시도 중 탄소중립경제에 대한 실천도가 높아 공공기관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문화체육분야 공공기관 유치에도 팔을 걷었다.
도는 백제문화권으로 역사 문화자원들이 풍부하기 때문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 관련 기관유치를 위한 전략수립에 집중하고 있다.
도는 충남으로의 기관 이전은 지리적 이점으로도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수도권과 충남 간 물리적 거리가 가까운데 더해, 2027년 내포역 개통까지 앞두고 있어 전국적으로 교류가 타지역보다 용이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보다 명확한 전략 수립과 접촉을 심층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유윤수 도 공공기관유치과장은 "기후환경, 탄소중립, 체육분야와 관련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정부에 집요하게 공공기관 이전을 요청하고 있다"며 "수도권과 1시간 이내 접근성, 철도, 고속도로 등 교통망은 전국 12개 혁신도시 중 충남이 가장 우세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전이 결정돼도 최소 3~4년은 소요되기 때문에 그때까지 미술관, 체육시설, 산단 등 조성은 더 공고히 완비돼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