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2.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2.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카페

탄방동 일대 상권 카페 29곳으로 크게줄지 않고 유지
월 평균 매출액은 871만원으로 1년 전보다 상승 기조
20, 30대 고객 매출 최다... 점심시간 이후 손님 몰려

  • 승인 2025-03-19 16:05
  • 신문게재 2025-03-20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탄방동1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2.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카페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한 직장인 김 모(46) 씨는 최근 카페 창업을 알아보고 있다. 수많은 상권 중 그가 선택한 곳은 대전 서구 탄방동 세등선원 인근이다. 최근 들어 20·30대 젊은 층에서 유행을 타기 시작해 카페 붐이 일고 있는 곳이다. 크고 작은 감성적인 카페가 들어서며 MZ세대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는 이곳 인근에 카페를 차리고 싶어 한다. 미적 감각과 흥겨운 음악, 소소하지만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에 능숙한 그는 그 누구보다 자신감이 충만하다. 인근 카페 수를 대략 알곤 있지만 정확한 수와 매출 등이 궁금하단다. 그의 고민을 덜어보자.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원하는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상권 카페 업소 수는 2024년 12월 기준 29곳이다. 이는 1년 전(31곳)보다 2곳 줄어든 수치다. 다만, 서구와 대전 전체로 놓고 보면 줄어드는 업소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서구 전체 카페 수는 2023년 12월 1339곳에서 2024년 1257곳으로 82곳 줄었다. 대전 전체로 놓고 봐도 이 기간 4166곳에서 4044곳으로 122곳 쪼그라들었다. 카페 창업 붐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경쟁자도 많아졌고, 이에 따라 문을 닫는 곳도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인테리어에 강점을 갖고 20·30·40대의 마음을 흔들 수 있다면 충분한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매출은=해당 상권 카페 업소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12월 기준 871만원으로, 2023년 12월(789만원)보다 늘었다. 서구 전체 매출도 2023년 12월 983만원에서 2024년 12월 1085만원으로 확대됐으며, 대전 전체는 이 기간 980만원에서 1080만원으로 상승했다. 카페 경쟁에서 살아남은 이들의 매출이 꾸준함을 갖고 한다면 매출이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 큰 편차를 보이진 않았다. 주말은 평균 151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주중은 114만원이었다. 주중엔 월요일이 119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화요일 117만원, 금요일 115만원, 수요일 111만원, 목요일 108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75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일요일은 127만원이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주 고객층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여성의 매출액은 482만원인데 반해 남성은 338만원이었다. 통상 남성들은 인원수 대로 커피만 주문하는 성격이 강한 데 반해 여성들은 커피에 케이크 등 디저트를 함께 주문하기 때문에 매출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49만원으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렸고, 30대 232만원, 40대 154만원, 50대 126만원, 60대 이상 42만원, 10대 16만원 순이다. 탄방동 일대 카페는 20·30세대를 타깃으로 삼고 업력에 매진한다면 충분한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시간대는 카페 특성상 점심시간 전후로 소비자가 몰렸다. 오후 2시~5시 337만원으로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했으며 오전 11시~오후 2시 247만원, 오후 5시~밤 9시 176만원, 오전 6시~11시 96만원 등이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1년 전과 비교하면 크게 빠졌다. 2024년 12월 기준 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4334명으로, 1년 전(9366명)보다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2024년 9월 3510명까지 주저앉았던 유동인구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4000명대를 회복했다. 연령대별로는 하루 기준 남성이 2439명, 여성은 1895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012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900명, 40대 868명, 30대 649명, 20대 590명, 10대 313명 순이다. 유동인구는 주말이 5527명으로, 주중(3855명)보다 많았다. 주중엔 3000명대를 유지했으며, 주말엔 토요일이 582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요일은 5235명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5시~밤 9시 1026명, 오후 2시~5시 825명 등의 순이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2.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3. 세종시 '이응다리+중앙공원'서 빛의 향연...22일 개막
  4.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5. 대전대·건양대·목원대 SW중심대학 사업단, 지·산·학 협력 활성화 위해 맞손
  1. (사)충남지역혁신사업단, 나사렛대 평생교육원과 업무협약 체결
  2. 건양대 인공지능학과 'KAICTS 2025 추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영예
  3. [기고]성암 이철영 선생의 사불응(死不應)과 매헌 윤봉길 의사의 생불환(生不還)
  4. 배재대 IPP사업단 2026년도 일학습병행 참여기업 모집
  5. 조승래 국회의원, 충남대 후배들과 만나 소통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