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2.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2.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카페

탄방동 일대 상권 카페 29곳으로 크게줄지 않고 유지
월 평균 매출액은 871만원으로 1년 전보다 상승 기조
20, 30대 고객 매출 최다... 점심시간 이후 손님 몰려

  • 승인 2025-03-19 16:05
  • 신문게재 2025-03-20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탄방동1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2.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카페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한 직장인 김 모(46) 씨는 최근 카페 창업을 알아보고 있다. 수많은 상권 중 그가 선택한 곳은 대전 서구 탄방동 세등선원 인근이다. 최근 들어 20·30대 젊은 층에서 유행을 타기 시작해 카페 붐이 일고 있는 곳이다. 크고 작은 감성적인 카페가 들어서며 MZ세대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는 이곳 인근에 카페를 차리고 싶어 한다. 미적 감각과 흥겨운 음악, 소소하지만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에 능숙한 그는 그 누구보다 자신감이 충만하다. 인근 카페 수를 대략 알곤 있지만 정확한 수와 매출 등이 궁금하단다. 그의 고민을 덜어보자.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원하는 대전 서구 탄방동 일대 상권 카페 업소 수는 2024년 12월 기준 29곳이다. 이는 1년 전(31곳)보다 2곳 줄어든 수치다. 다만, 서구와 대전 전체로 놓고 보면 줄어드는 업소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서구 전체 카페 수는 2023년 12월 1339곳에서 2024년 1257곳으로 82곳 줄었다. 대전 전체로 놓고 봐도 이 기간 4166곳에서 4044곳으로 122곳 쪼그라들었다. 카페 창업 붐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경쟁자도 많아졌고, 이에 따라 문을 닫는 곳도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인테리어에 강점을 갖고 20·30·40대의 마음을 흔들 수 있다면 충분한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매출은=해당 상권 카페 업소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12월 기준 871만원으로, 2023년 12월(789만원)보다 늘었다. 서구 전체 매출도 2023년 12월 983만원에서 2024년 12월 1085만원으로 확대됐으며, 대전 전체는 이 기간 980만원에서 1080만원으로 상승했다. 카페 경쟁에서 살아남은 이들의 매출이 꾸준함을 갖고 한다면 매출이 지속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매출은 주중과 주말 큰 편차를 보이진 않았다. 주말은 평균 151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주중은 114만원이었다. 주중엔 월요일이 119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화요일 117만원, 금요일 115만원, 수요일 111만원, 목요일 108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75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일요일은 127만원이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주 고객층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여성의 매출액은 482만원인데 반해 남성은 338만원이었다. 통상 남성들은 인원수 대로 커피만 주문하는 성격이 강한 데 반해 여성들은 커피에 케이크 등 디저트를 함께 주문하기 때문에 매출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49만원으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렸고, 30대 232만원, 40대 154만원, 50대 126만원, 60대 이상 42만원, 10대 16만원 순이다. 탄방동 일대 카페는 20·30세대를 타깃으로 삼고 업력에 매진한다면 충분한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시간대는 카페 특성상 점심시간 전후로 소비자가 몰렸다. 오후 2시~5시 337만원으로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했으며 오전 11시~오후 2시 247만원, 오후 5시~밤 9시 176만원, 오전 6시~11시 96만원 등이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1년 전과 비교하면 크게 빠졌다. 2024년 12월 기준 해당 상권 유동인구는 4334명으로, 1년 전(9366명)보다 절반가량 줄어들었다. 2024년 9월 3510명까지 주저앉았던 유동인구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4000명대를 회복했다. 연령대별로는 하루 기준 남성이 2439명, 여성은 1895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012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900명, 40대 868명, 30대 649명, 20대 590명, 10대 313명 순이다. 유동인구는 주말이 5527명으로, 주중(3855명)보다 많았다. 주중엔 3000명대를 유지했으며, 주말엔 토요일이 582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요일은 5235명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5시~밤 9시 1026명, 오후 2시~5시 825명 등의 순이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SKT 유심교체 첫날, 대전 대리점 곳곳 긴 줄… 노년층 혼란 극심
  1. [기고] 대전·충남 통합의 과제와 전망
  2.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3. "충남미술관 성공적 건립 위해" 지역 예술계 상생·협력의 장 마련
  4. 유심 교체의 긴 줄
  5.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헤드라인 뉴스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 토끼봉에 일제 방공호 2개 "길목에 만든 일본군 참호"

대전에서 충북 옥천을 잇고 한때는 청주 방향으로 분기하던 교통 요충지에서 일제강점기 방공호 동굴 2개가 추가로 확인됐다. 밖에서 동굴 입구가 보이지 않도록 벽을 세워 숨겼고, 산봉우리 아래 4개의 동굴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팠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대전 동구 신상동 오리골마을에서 만난 송정의(91) 옹은 벚꽃길로 유명한 회남로 주변에 일제강점기 조성된 동굴에 대해 증언했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이 마을 역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하 방공호 이야기를 듣고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곳은 1975년 대청댐이 준공되어 수몰되기 전에는..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