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산시청 전경 |
서산시가 추진 중인 신청사 건립사업을 두고, 시민사회 일각에서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접근성 부족, 공론화 미비, 과도한 예산 투입 등 각종 문제점에 더해, 정부의 시·도 통합 및 행정 효율화 기조와도 배치된다는 점에서 사업 전반에 대한 신중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가장 큰 우려는 부지 접근성이다. 시가 최종 입지로 확정한 부춘산 자락 '서산문화원 일원'은 대중교통 연계가 부족하고, 시민 접근성도 떨어지는 지역이다.
서산지역 명산 중의 하나인 부춘산 자연경관 훼손과 도시 미관 저해 우려까지 제기되며, 일부 시민들은 "해당 부지는 미래 도시 전략과도 맞지 않다"며 입지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2000억 원 규모의 예산 투입은 과하다는 지적이 크다. 고물가·고금리·저성장이라는 삼중고 속에서 대규모 청사 건립을 강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인지, 시민사회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시민들은 "서산시 행정을 위한 공간 개선이 필요하더라도,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는 것이 중론이며 시민단체 역시 "예산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청사 건립 계획을 늦추고, 보다 실효성 있는 대안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서산시 측은 노후 청사의 안전 문제와 분산된 행정 기능의 비효율을 들어 청사 신축의 필요성을 강조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시민단체는 "공간 부족은 행정 조직의 비대화와 기능 중복에서 비롯된 문제로, 조직을 슬림화하고 유사부서를 통합하면 해결할 수 있다"며, 청사 신축이 아닌 조직 효율화가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신청사 입지 선정 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시는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결정한 것이라 밝히고 있지만, 시민사회는 "위원회 구성부터 과정까지 형식적이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해당 부지는 이미 입지 확정 1년여 전부터 유력 후보지로 거론됐고, 시장이 직접 언급한 사실까지 드러나며, 특정 부지를 염두에 둔 계획 아니냐는 강한 의혹도 제기되기도 했다.
또한, 시민들은 이 사업이 정부의 행정 통합 기조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한다. 행정 효율화가 강조되는 시대에 대규모 청사 건립은 오히려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는 것이다.
시민사회는 "서산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사안일수록,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며 공론화와 전면 재검토를 거듭 요구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입지 선정 과정 어디에서도 주민의 목소리는 제대로 들을 수 없었다"며, "지금은 서두를 때가 아니라 멈춰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