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교진 교육감이 4월 29일 보람동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초·중·고 연계 운동부 시스템이 부재하다 보니, 잘 키운 엘리트 선수가 진학할 학교가 없어 빠져 나가는 일이 빈번이 발생하고 있다. 야구의 경우, 주변 지역에 위장 전입의 방식으로 통학하는 일도 공공연한 사실이다.
축구의 손흥민(강원)과 박지성(수원), 배드민턴의 안세영(나주), 탁구의 신유빈(수원), 펜싱의 오상욱(대전), 야구의 박찬호(공주)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자신의 출신 지역의 브랜드를 강화하는 데 톡톡히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뼈아픈 대목이다. 이들 선수들은 때로는 지역 사회 기부 등의 나눔으로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시체육회의 집계 결과 지난 5년 기준 외부 다른 학교로 전학한 학생은 무려 200여 명.
이는 육상과 레슬링, 테니스, 검도, 씨름까지 모두 5개 종목만 초·중·고 연계가 가능한 현실의 반영이다. 역시나 연계 시스템을 갖춘 학교들은 전국 소년체전이나 전국체전에서 메달 획득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레슬링과 씨름, 육상이 효자 종목으로 분류된다.
수영과 탁구는 초·중, 태권도는 중·고, 축구와 펜싱은 초등, 세팍타크로는 고교에서만 선수로서 활동 가능하다. 태권도와 세팍타크로, 탁구 등도 적잖은 기여를 하고 있다. 세종시 학생 선수단은 지난해 전국체전에선 금 2개, 은 3개, 동 8개, 소년체전에선 금 1개, 은 3개, 동 8개를 각각 획득한 바 있다.
그럼에도 결과적으론 총 11개 종목 외에는 엘리트 선수로 활동할 기반조차 마련돼 있지 않은 현실이다.
![]() |
세종시 학교 운동부 현황. 사진=시교육청 제공. |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운동부 연계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나루초 펜싱부 등 창단 종목도 있다 보니 속도를 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라며 "조치원중을 졸업한 검도팀 여고생은 해당 학교에서 함께 지도하는 방안 등을 우선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교진 교육감은 4월 29일 이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통해 "안타까운 현실은 충분히 알고 있다. 문제는 방법"이라며 "클럽 형태의 학생들이 아시아권 프로팀에 진출하는 좋은 사례도 축구 종목에서 나오고 있다. 연계 운동부 활성화는 학교 동창회 등 전 사회적 참여를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향후 ▲내실 있는 체육 교육과정 운영 ▲1학생 1운동 활동 강화 ▲모든 학생이 1종목 이상 스포츠리그 활동 ▲스포츠 클럽대회(학생 체육대회) 운영 ▲교육감배 학생 체육대회 15종목으로 확대 개최(10월) ▲클럽 기반 지역형 학교 운동부 운영(야구 전문선수반 등) ▲학교 운동부 지도자 협의회 운영 ▲지속 가능한 학교체육 지원 체계 구축(4개 위원회) 등으로 저변 확대를 도모하기로 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