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계족산 전경. 사진=산림청 제공. |
이번 공모는 6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전문가 심사를 거쳐 8월 말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임도가 산불 진화와 산림 경영의 필수 기반시설로 활용하는 동시에 산림 휴양과 레포츠 등 다양한 여가활동 공간 기능이란 점에 주목한 시도다. 임도의 다각적 활용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도 보고 있다.
이번 공모는 임도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공모 분야는 자연휴양림과 산림욕장 등에서 산림을 즐길 수 있는 '산림휴양형'과 산악자전거 및 산악마라톤 등 활동성을 강조한 '산림레포츠형'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활용 사례로는 대전 계족산 임도 걷기와 양양 서면 힐링 걷기, 원주 산악자전거 파크, 청송사과 산악마라톤 등이 있다. 올해도 평창 임도 걷기 대회, 순창 섬진강 트레일 레이스, 사천 산악자전거 대회 등이 열렸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임도는 사람과 숲을 연결하는 통로이며, 산림휴양과 생태관광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설"이라며 "임도를 매년 확대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소멸 위기 극복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4년 말 기준으로 산림휴양형 임도는 전국에 140개소, 1163킬로미터가 조성돼 있으며, 산림레포츠형 임도는 53개소, 624킬로미터가 조성돼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금산군 신안리 임도.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