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각각 늦어도 2029년, 2031년 완전한 이전 조건을 갖춰 세종시에 들어설지 주목된다. 사진=강 의원실 제공. |
더불어민주당 강준현(세종 을) 국회의원은 5월 12일 오전 10시 30분 세종동(S-1생활권)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에서 열린 '세종 선거대책위원회(이하 선대위)' 출정식에서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이날 세종 총괄 선대위원장이자 충청권 선대위원장, 코스피5000시대 위원장으로서 이재명 후보와 교감하고 있는 부분을 언급했다. 올 초 세종의사당과 대통령실 등 행정수도 후속 조치에 대한 진행 상황을 공유하면서, 앞으로 방향성을 함께 정했다는 설명이다.
6.3 대선 직후 세종 집무실 시대는 불가능하다는 현실론을 먼저 언급했다. 강 의원은 "당장 들어올 건물이 우선 없다. 그리고 미사일 방어와 방탄 유리벽, 벙커 등의 기본적인 안전 장치도 부재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세종 집무실의 중장기 로드맵을 이렇게 제시했다. 당장 오는 6월 국제 설계 공모 단계에 들어가면, 2028년경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 정부가 제시한 2027년 하반기 준공에서 일부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의 추진 주체가 각각 행복청과 국회 사무처로 다르다 보니, 세종의사당 건립 추진위원회를 거치며 추진 시점이 늦춰졌다.
그는 "미국 백악관과 국회의사당, 링컨 기념관, 스미소니언 박물관 등이 모여 있는 워싱턴 D.C. 내셔널몰은 기능별 일관성을 잘 갖추고 있다. 대통령실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함께 잘 어우러져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이어갔다
![]() |
세종시가 국회와 대통령실, 국립박물관단지 등이 한데 어우러진 워싱턴 D.C. 내셔널몰과 같은 도시로 나아갈지 주목된다. 사진=강 의원실 제공. |
강 의원은 "이재명 후보는 대통령 임기 내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완료하겠다는 약속을 하셨다"라며 "세종의사당은 최근 기획재정부와 총사업비 규모를 확정지었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을 통해 6개월 간 사업 계획 적정성 재조사를 앞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의 밑그림도 내보였다.
오는 12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국제 설계 공모를 거쳐 우원식 국회의장의 임기 말인 2026년 5월까지 마스터플랜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우 의장의 약속이기도 하다.
![]() |
강 의원이 이재명 정부 이후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의 추진 로드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실현 방안은 2가지로 제시했다.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통과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기 위해 '행정수도특별법(가)'을 대표 발의하고, 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다시 받아보는 절차를 다시 밟겠다는 구상이 첫 번째다. 2004년에 이어 다시 '관습 헌법' 등의 이유를 들어 법안이 폐기될 경우, 행정수도 개헌이란 2번째 단계로 나아가겠다는 입장이다.
강준현 의원은 "세종시는 세종시민만 잘 살게 하려고, 집값 올리기 위해 만든 도시가 아니다. 세종시를 잘 만들어 국가균형발전으로 모두가 잘 먹고 잘 사는 그런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