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행 가계대출 추이.(자료=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3월 말보다 4조 8000억 원 오른 1150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3월의 증가 폭(1조 6000억 원)보다 3조 2000억 원 늘었으며, 지난해 9월(5조 6000억 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13조 9000억 원)이 3조 7000억 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 3000억 원)이 1조 원가량 증가했다.
박민철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에 본격적으로 나타났고, 1분기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없어지면서 신용대출도 늘어 전체 가계대출이 4월 상당 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향후 흐름을 두고서는 더 큰 폭의 상승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박 차장은 "특히 3월 주택 거래가 많았기 때문에,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5월 가계대출에 많이 반영될 것"이라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을 앞두고 선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금융 당국과 함께 살펴보고 있다.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
기업 자금조달 추이.(자료=한국은행 제공0 |
은행들의 기업 대출을 재개한 데다, 미국 관세정책 충격도 영향 미쳤다. 이를 두고 한은은 "1분기 말 자본 비율 관리를 위해 기업 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은행들이 기업 대출을 재개한 데다, 미국 관세정책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특수은행 중심으로 금융지원책으로 정책성 자금도 지원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폭증하는 가계부채를 진정시킬 수 있도록 관리 조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단 입장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이날 '가계대출 동향'을 공개한 뒤 "금리 인하 기대, 5월 가정의 달 수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월·분기·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를 비롯해 가계부채 관리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