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전시는 1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시 과학기술위원회'를 열고 '대전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의 2025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해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주요 출연연 기관장, 지역 대학 총장, 기업 및 언론계 등 산·학·연·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사진제공은 대전시 |
시는 1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시 과학기술위원회'를 열고 '대전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의 2025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해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주요 출연연 기관장, 지역 대학 총장, 기업 및 언론계 등 산·학·연·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시행계획은 ▲핵심전략산업(ABCDQR) 육성 ▲과학산업 육성 생태계 조성 ▲글로벌 과학산업 융합혁신 거점조성 ▲과학산업인재육성 및 과학문화 확산 등 4대 전략 아래 16개 중점과제, 80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되며, 2025년 한 해 동안 총 2500억 원(국비 1452억 원, 시비 964억 원, 민간 84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중점 육성 중인 '6대 전략산업(우주(A), 바이오(B), 반도체(C), 국방(D), 양자(Q), 로봇(R))'에 405억 원을 집중 투자해 맞춤형 지원 강화와 지역산업 연계를 통해 전략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
과학산업 육성 생태계 조성에는 506억 원을, 글로벌 과학산업 융합혁신 거점 조성에는 392억 원을 각각 투자한다.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 창업 지원 등 실질적 성과 중심으로 설계됐으며, 대덕특구와 연계한 클러스터 고도화에도 주력한다.
특히 '과학산업 인재육성 및 과학문화 확산' 가장 많은 예산인 1197억원을 투입한다. 지역인재 양성 거버넌스 구축, 청소년 대상 과학 프로그램, 과학문화 기반 확산 등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올해 시행계획은 지난해 총 3107억원에 비해 감소했지만, 시는 "사업별 투자효율과 성과 극대화에 중점을 둔 전략 전환"이라고 강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선 과정에서 대전을 과학기술중심도시로 만들겠다는 공약이 나오고 있는데 대전은 이미 과학수도다. 거기에 걸맞는 위상 확보가 중요한 것"이라면서 "올해에는 6대 혁신 전략산업 육성을 중심으로 과학산업 혁신거점 조성 및 지역인재 양성에 집중할 계획이다. 10년안에 대전이 국내에서 최고 부자도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2024년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해 총 3107억 원(국비 1162억 원, 시비 1111억 원, 민간 834억 원)을 투입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바이오 특화단지 국가공모 선정 ▲대전 SAT 프로젝트 위성 개발 착수 ▲글로벌 기업 머크(Merck)사의 아시아태평양 바이오프로세싱 생산센터 착공 ▲나노 반도체 국가산단 예타 선정 ▲세계경제과학도시연합(GINI) 창립 ▲대전투자금융 출범 등이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