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녕군 생애주기별 시책 추진<제공=창녕군> |
군은 합계출산율이 2022년 0.80명, 2023년 0.81명, 2024년 0.91명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경남 평균을 웃돌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창녕군이 추진한 각종 인구정책이 일정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를 뒷받침한다.
군은 첫째 자녀에 500만 원, 둘째 700만 원, 셋째 이상에 1000만 원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며,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등 다양한 보육수당을 병행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군은 공공형 키즈카페, 육아종합지원센터, 공동육아나눔터, 시간제 보육서비스 등을 통해 보육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365일 운영되는 하나돌봄어린이집과 '손주돌봄 수당' 등 가족 단위 돌봄 지원도 눈에 띈다.
하지만 출산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정책에 대한 실제 체감도는 지역별·계층별로 편차가 크다.
돌봄 시설 접근성, 민간기관과의 협업 한계, 중복 사업에 따른 예산 누수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다함께돌봄센터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역아동센터 등은 다양한 돌봄 수요를 흡수하고 있지만, 방학 기간이나 틈새 시간대의 돌봄 공백은 해결되지 않은 과제다.
또한, 행정 주도의 지원은 많지만, 아이를 실제로 돌보는 부모와 조부모 입장에서 체감하는 불균형과 피로도에 대한 세밀한 분석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성낙인 군수는 "한 아이를 낳고 기르는 일은 한 가정의 책임이 아닌 지역 모두의 몫"이라며, 지속 가능한 육아 환경 조성을 약속했다.
출산율은 올랐고, 수당은 늘었다.
그러나 아이는 숫자가 아니라, 하루를 살아가는 존재다.
창녕=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