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고경력 과기인, 19일부터 대전 초·중·고서 과학교육 멘토 활동

  • 사회/교육

대덕특구 고경력 과기인, 19일부터 대전 초·중·고서 과학교육 멘토 활동

  • 승인 2025-05-18 16:54
  • 신문게재 2025-05-19 7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 요구가 큰 가운데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은퇴과학자들이 올해도 지역 학교서 과학교육 멘토 역할에 나선다.

18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고경력 과학기술인 76명이 19일부터 170개 학교서 과학교육 멘토링 사업을 진행한다. 각각 초등학교 105개, 중학교 37개, 고등학교 28개 교다.

대전시와 교육청이 공동 추진하는 2025년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 학교 과학교육 멘토링사업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서 퇴직한 과학기술인이 학교로 찾아가 실습 중심의 과학교육 진로 멘토링을 제공한다.

고경력 과학기술인이 모여 있는 대덕특구 특성상 퇴직 인력을 적재적소에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대전시와 교육청은 2013년부터 학교 현장에 고경력 과기인을 투입해 학생에게 생생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공계 과학 인재 육성과 과학대중화 등을 목표로 은퇴과학자를 통해 미래 세대에게 지식을 물려주는 것이다.



clip20250518131355
대전교육청은 16일 고경력 과학기술인 강의역량 향상을 위한 연수를 실시했다. 대전교육청 제공
대전교육청은 이러한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강의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2025년 사업 시작에 앞서 16일 실시한 강의 역량 강화를 위한 사전 연수를 통해 교육현장에 적합한 교육법을 공유했다.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과학 수업을 하는 실제 교사가 연수 강사로 나서 학교 과학교육의 실제 사례와 멘토링에 필요한 교수법을 소개했다. 강사로는 대전삼성초 이정호 교사와 대전문지중 김경아 교사가 초청됐다.

김영진 대전교육청 과학직업정보과장은 "이번 연수는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전문성을 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정"이라며 "앞으로도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대덕특구 과학기술인 1500명가량이 은퇴했으며 베이비부머 세대가 포함된 2023년부터 2030년까지 2900여명이 은퇴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바 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2.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3. 세종시 산울동 '도심형주택 1·2단지 희망상가' 42호 공급
  4. [건강]고지혈증 젊은층 환자 증가추세, 안심할 수 없어
  5.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1. 우리 서로 마음 똑똑… 학생 마음건강 지켜요'!
  2. 중기중앙회 대전세종본부 '2025 임직원 워크숍' 성료
  3. 천안을 이재관 의원, 성환혁신지구 도시재생사업 공모 조건부 선정 환영
  4. 대전경찰청, 청소년 사이버도박 예방 위한 ‘리-본 상담소’ 운영
  5. 천안시, '성환 혁신지구 도시재생사업' 국가시범지구 최종 선정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최민호 세종시장이 5일 여의도 국회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를 만나 공공기관 이전 정책과 배치되는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의 부산 이전 계획에 대해 당 차원에서 반대 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면담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이 전면 재검토될 수 있도록 당 차원에서 힘을 실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최 시장은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이 그간 정부가 추진해온 공공기관 이전 정책의 원칙과 논리에 부합되지 않는 만큼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지난 3일 김민석 총리에게 건의한 원점 회기..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논란에 앞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진 '여성가족부(서울)와 법무부(과천)'의 세종시 이전. 2개 부처는 정부세종청사 업무 효율화 취지를 감안할 때, 2019년 행정안전부와 함께 동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져 6년을 소요하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2025년 12월까지 일사처리로 진행될 양상이나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이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새 정부의 입장도 애매모호하게 다가오고 있다. 2025년 6월 3일 대선 이전에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동시 이전이 추진되던..

상권 공실의 늪 `세종시`...신도시 첫 `포장마차 거리` 주목
상권 공실의 늪 '세종시'...신도시 첫 '포장마차 거리' 주목

전국 최고 수준의 상권 공실에 놓여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코로나 19 이전 과다한 상업용지 공급과 이후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자영업자의 무덤'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행정수도란 장밋빛 미래와 달리 지연된 국책사업과 인프라는 상권에 희망고문을 가하기 시작했고, 최고가 낙찰제는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의 거품을 키우며 수분양자와 임차인 모두에게 짐이 되고 있다. 세종시가 상권 업종 규제 완화부터 전면 공지(상권 앞 보도 활용) 허용 확대에 나서고 있으나 반전 상황에 이르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개·폐업의 쳇바퀴 아래 지역 상권의 공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