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사태 합동점검(행안부, 도, 군)<제공=하동군> |
군은 즉시 평시 체제로 전환해 향후 산불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군 관계자는 "3월 말 산청에서 시작돼 하동으로 번진 대형 산불의 여파가 여전히 남아 있다"며, "진화 이후의 복구와 2차 피해 예방이 중요한 국면"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산불로 하동 지역에서는 총 945ha 산림이 소실됐고, 상당수 지역이 급경사지와 황폐지로 구성돼 있어 재해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옥종면 두양리 등 주요 지역 산사태 1·2등급 비율은 산불 전 32.7%에서 45.5%로 급증했다.
불에 탄 지역 일부는 표토층까지 사라져 지표가 불투수화된 상태며, 빗물 흡수 기능이 떨어져 산사태 위험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동군은 현재 10억 원의 재해대책비를 확보해 피해지역 긴급 복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장기 생태복원과 산림 재해 예방을 위한 정밀 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조심 기간은 종료됐지만, 산불 예방·진화 체계는 당분간 유지된다.
군은 전문 진화대를 5월 말까지, 산불 진화용 헬기를 6월 중순까지 연장 배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반복적인 재해 이후의 대응 시스템이 '복구'에만 초점 맞춰질 경우, 장기적 토양 안정성과 생태 회복은 구조적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급경사지가 많은 지역 특성을 감안할 때, 생태방재 설계와 사방사업 등 근본적 개입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동군은 군민 안전 확보를 위해 여름철 산사태 대응 매뉴얼 정비와 피해지 모니터링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행정은 종료를 선언했지만, 산은 아직 회복의 시간을 걷는 중이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