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모임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4세 고시, 7세 고시, 초등 의대반 현황(김문수 국회의원 요구 자료)'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현황 없음'이라는 답변을 회신했지만 맘카페와 유아 대상 영어학원 관련 커뮤니티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일부 어학원에서 유아 레벨테스트가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한 "이는 조기 영어교육과 입시 경쟁을 조장하는 비교육적인 행태다. '무료 언어역량 진단'이라는 명목으로 레벨테스트를 시행하고 있으며,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유아는 재시험을 치르거나 준비반에 등록해야 한다"며 "정규반 선발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 수강생이 반을 이동할 경우에도 테스트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며 "해당 어학원의 레벨테스트는 과거 2-5만원, 상담 포함 시 최대 8만원에 달하는 유료 서비스였고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현재는 무료로 전환됐지만 여전히 사교육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유아를 줄 세우는 선발 도구로 기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 심각한 문제는 레벨테스트 운영이 현행 학원법상 신고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당국은 그 시행 여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른 지도·감독이나 행정처분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최근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에 '유아 대상 영어학원 특별점검 시행 요청' 공문을 발송하여, 수강생 모집 시 영어 수준 측정 별도 시험 실시 여부를 지도 점검하라고 안내하였다"며 "지역 내 반일제 이상 유아 대상 영어학원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학원은 월 100만 원이 넘는 수강료를 요구하고 있어 교육 불평등, 유아 학습노동, 사교육비 부담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교육당국의 지도 점검은 시기적절하며, 반드시 제도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레벨테스트 실태를 전수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것, '유아 고시 방지법'을 제정하여, 학원의 레벨테스트 (우열반 편성)를 금지할 것,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교습비 상한제를 도입할 것, 유아 대상 학원교습시간을 감축해 유아들의 휴식권과 놀 권리를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