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동행론업무협약식<제공=경남도> |
지난 19일 열린 협약식에서 박완수 도지사는 "10만 원도 빌리지 못하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다"며 이 사업 배경을 설명했다.
'경남동행론'은 신용 하위 20%이면서 연소득 3,500만 원 이하인 도민을 대상으로, 최대 150만 원의 생계비를 대출해주는 맞춤형 서민 금융상품이다.
이번 협약에는 서민금융진흥원, NH농협, BNK경남은행, 도내 18개 시·군이 함께 참여했다.
도는 모바일 앱을 통한 비대면 신청 시스템도 준비 중이며, 8월에는 연체자 대상 특별상품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이다.
150만 원이란 숫자가 작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 사업은 단순한 금융 상품이 아닌 '사회적 복지 안전망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구조적 문제는 여전하다.
저신용자 다수는 정보 접근성조차 떨어지며, 신청 방법에 대한 안내는 여전히 '추후 공지'에 머물러 있다.
더 큰 문제는 '1회성 상품'이 되지 않기 위한 지속가능한 정책 연계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제도의 간판보다 중요한 건, 그 제도에 실제로 닿을 수 있는 사람이다.
신용등급이 아니라 삶의 절박함을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을 때, '동행'은 진짜 시작된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