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식 기자<사진=김정식 기자> |
창녕과 밀양이 1500만 원씩, 합천과 거창이 1400만 원씩 서로 주고받는 '교차기부' 행사가 한창이다.
벌써 3년째다.
이 모습은 겉으로 보기엔 훈훈하다.
지자체와 농협이 손잡고 서로의 발전을 응원하는 모습은 분명 아름답다.
하지만 내 지갑에서 돈을 꺼내 네 지갑에 넣고, 네 지갑에서 비슷한 돈을 꺼내 내게 주는 이 의식이 진정한 기부일까?
고향사랑기부제의 본래 취지는 도시에 살면서 재정이 어려운 고향을 돕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인접 지자체끼리, 심지어 같은 시군 내 부서끼리 돈을 돌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런 돈 돌리기가 세액공제 혜택까지 받는다는 점이다.
A기관이 B기관에 기부하고 세금 혜택을 받으면, B기관도 A기관에 기부해 똑같은 혜택을 누린다.
결국 순수한 기부금 증가는 없는데, 통계 수치만 부풀려진다.
마치 물 한 바가지를 두 양동이 사이에서 왔다 갔다 옮기면서 물이 늘었다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교차기부가 늘수록 공무원들은 서류 작업에 시간을 뺏기고, 실질적인 외부 기부 유치 노력은 줄어든다.
더구나 이런 교차기부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문화를 형성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물론 초기에 제도를 알리는 마중물 역할은 했다.
하지만 이제는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외부 민간기부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때다.
진정한 고향사랑기부제의 성공은 지역 밖에서 물줄기가 흘러들어올 때 이루어진다.
수치 늘리기에 혈안이 된 교차기부보다, 지역 특산품의 매력을 높이고 기부금 사용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통계 수치보다 중요한 것은 진심이다.
허울뿐인 기부 액수가 아닌, 진정한 지방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할 때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