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교육청은 20일 오후 지자체 대상 유보통합 설명회를 개최했다. 대전교육청 제공 |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7월부터 5개 자치구에 유보통합 관련 보육업무 이관을 위해 인력 9명을 파견할 예정이다. 앞서 유일하게 시범운영을 하고 있는 서구에 더해 모든 자치구로 인력을 추가 배치한다.
교육청은 1월부터 6월까지 교육청 인력 1명을 서구 아동복지과 보육팀에 파견해 보육업무 이관을 위한 사전 파악에 돌입했다. 이 직원은 민원 상대와 보조금 교부 등 보육업무 전반을 수행하고 있다.
7월부턴 이러한 업무가 대전 5개 자치구 전체서 이뤄진다. 서구에 파견됐던 직원은 교육청으로 복귀하고 6급과 7급 인력을 고루 배치할 예정이다. 6급 파견자는 동부·서부 관리체계 일원화 추진을 총괄하고 7급 이하는 대전시와 자치구에서 영유아 보육업무를 직접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파견 인원은 동·서·유성구 각 2명, 대전시와 중·대덕구 각 1명이다.
대전교육청은 유보통합을 위한 자치구 파견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이날 본청에서 자치구 담당자 대상 설명회를 열고 기관 간 협조사항과 파견 배경, 이유 등 유보통합 정책 전반에 대해 설명했다.
유보통합은 현재 교육부·교육청이 유아교육(유치원)을, 지자체가 보육(어린이집)을 각각 담당하는 체계를 모두 교육부·교육청이 통합한 관리체계를 지칭한다. 영유아 시기부터 격차 없는 성장과 지원을 위한 것으로, 2024년 6월 개정된 정부조직법 시행으로 우선 관리체계는 교육부로 이관됐다. 다만 기관 통합 방식과 관리체계, 교사 자격 문제, 교육과정, 재원 마련 등을 놓고 구체적인 추진 방안은 현장의 반발과 이견 등으로 아직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이른바 유보통합 3법도 계류 중인 상태다.
6·3 조기대선을 통한 차기 정부를 주축으로 각 매듭을 풀어야 하는 상황인데, 주요 후보자 모두 유보통합에 긍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대전교육청 유초등교육과 관계자는 "유보통합에 대한 각계 의견을 모으고 법안 통과 등이 필요한데 현재 여러가지로 폭풍전야인 시기"라며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차근차근 준비하는 과정 중 하나로 파견 필요성을 느꼈다. 당장 할 수 있는 것들에 최선을 다해 보려 한다"고 말했다.
대전 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유보통합 인력 파견을 받은 서구 관계자는 "교육청은 기존에 하지 않던 낯선 업무를 배우고 이해하는 과정인데 파견업무를 하면서 남은 기간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완만한 안착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만 대전교육청 유초등과장은 "설명회로 유보통합을 향해 한 발 나아가는 긍정적인 첫걸음을 뗀 만큼 앞으로도 분야별 실무협의회 등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소통 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