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21대 대선 선거벽보 첩부를 하루 앞둔 14일 대전 동구의 한 업체에서 관계자들이 선거벽보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5%였다. 이번 조사에서 부동층은 군소 후보 4명(무소속 황교안 1%, 민주노동당 권영국·무소속 송진호 0%)의 지지율을 합한 것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상 양자 대결 시 부동층은 더욱 늘어났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 간 양자 대결에선 이 후보가 49%를 얻어 김 후보(39%)를 10%p차로 따돌렸지만, 지지 후보가 없다는 부동층은 12%(없다 11%, 모름·응답거절 1%)로 늘었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간 양자 대결 역시 이재명 후보 45%, 이준석 후보 39%, (지지 후보) 없다 13%, 모름·응답거절 3%로, 부동층이 16%까지 상승했다. 후보 다자 구도에선 한 자릿수인 부동층이 양자 대결 구도에선 10% 초중반대까지 늘어난 것이다.
지지층의 충성도도 남은 변수다. 기존 후보를 계속 지지할지, 다른 후보로 지지 의향을 바꿀지가 핵심인데, 이번 조사에서 대전·세종·충청권역의 기존 후보에 대한 계속 지지 의향은 84%로 조사됐다.
기존 지지 후보에 대한 충성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여지는 있다. '다른 사람 지지로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15%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향후 정치 상황 변화에 따라 유권자들의 최종 선택이 바뀔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전국 응답자를 정치 성향별로 나눴을 때 보수는 10%, 중도는 17%, 진보는 5%가 '다른 사람 지지로 바꿀 수도 있다'고 응답했다. 보수·진보에 비해 중도층의 가변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지 후보별로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재명 후보 지지자의 95%, 김문수 후보 지지자의 89%가 '계속 지지할 것 같다'고 답한 반면 이준석 후보의 경우는 60%만 계속 지지 의향을 보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5.8%다. 피조사자 선정방법은 무선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익준 기자·대신협 공동취재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