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대선 TV토론 충청권 평가는… 이재명 40%, 이준석 26%, 김문수 21%

  • 정치/행정
  • 6·3 대선

첫 대선 TV토론 충청권 평가는… 이재명 40%, 이준석 26%, 김문수 21%

첫 대선 TV 토론 관련해 여론 조사 진행
대전.세종.충청 응답자 83% 토론회 시청
'토론 보고 지지하던 후보 더 지지' 54%

  • 승인 2025-05-22 16:44
  • 수정 2025-05-26 14:53
  • 신문게재 2025-05-23 2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0005135199_001_20250522123510560
지난 18일 진행된 대선 TV 토론회 참석한 국민의힘 김문수(왼쪽부터)·민주노동당 권영국·개혁신당 이준석·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사진= 연합뉴스)
지난 18일 첫 대선 후보 TV 토론회 이후 전통적 스윙보터 지역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가장 토론을 잘 했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한국갤럽에 의뢰에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지난 18일 진행된 대전 후보 TV 토론회에 대해 대전·세종·충청에서 '본 적 있다'고 답한 비율이 83%였다. '본 적 없다'가 16%, '모름·응답 거절'이 1%다.

TV 토론회를 본 충청권 응답자 중 '지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토론을 가장 잘 했다고 생각하는 후보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이재명 후보가 40%로 조사됐고,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26%,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21%였다.

이어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가 5%, '특별히 잘한 후보가 없다'는 질문에 8%, '모름·응답 거절'이 1%였다.



TV 토론 평가에 대한 전체 응답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40%, 이준석 후보 28%, 김문수 후보 17%, 권영국 후보 5%다.

연령별로는 18~29세 구간에서 이준석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이 49%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30대는 이준석 후보가 40%, 이재명 후보가 34%로 오차 범위 내에 있고, 40대는 이재명 후보 58%, 이준석 후보 19%, 김문수 후보 9%, 권영국 후보 5%등 순이다.

지역별로 보면 전통적 보수 강세 지역인 대구·경북을 제외한 지역에서 이재명 후보가 앞선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질문에 진보정당 텃밭 광주·전라 응답자는 토론을 가장 잘 한 사람에 대해 이재명 후보를 선택한 응답자가 59%, 이준석 후보 17%, 김문수 후보 4%, 권영국 후보 8% 순으로로 나타났다.

토론회가
그래픽=중도일보
대구·경북에서는 토론을 가장 잘한 후보가 누구인지 묻는 질문에 이준석 후보가 31%,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30%, 이재명 후보 23%, 권영국 후보 4%, 황교안 무소속 후보 1%였다.

보수 진영의 또 다른 강세 지역인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토론을 가장 잘 했다는 응답이 33%가 나왔으며,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각각 25%, 권영국 후보가 4%로 조사됐다.

TV 토론회가 지지 후보 선택에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전·세종·충청 응답자 54%는 '지지하던 후보를 더욱 지지하게 됐다'로 답했으며, '아무 영향이 없었다'가 30%였다. 이어 '지지하던 후보가 없었으나 지지하는 후보가 생겼다'고 6%가 답했으며, '지지하던 후보를 바꿨다'가 4%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백분율 집계의 경우, 소수점 반올림 과정에서 99.9% 또는 100.1%로 나타나는 라운딩 에러(반올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피조사자 선정방법은 무선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했다. 응답율은 15.8%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김지윤 기자·대신협공동취재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문화동 국방부 땅 매각 검토될듯…꽃마을엔 대체부지 확보 요청도
  2. 李정부, 해수부 논란에 행정수도 완성 진정성 의문
  3.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4.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5.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1.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2.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3. 지역정책포럼 '이재명 정부 출범과 지역과제' 잡담회 개최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李정부 해수부 이전 지방선거 메가톤급 뇌관되나

이재명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이 채 1년도 남지 않은 제9회 지방선거를 흔드는 메가톤급 뇌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탈(脫) 세종이 현실화되면 직접적 타격을 입는 충청권을 넘어 인천, 호남까지 연쇄 충격파가 우려되면서 전선확대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앞으로 5년간 국정 청사진을 제시할 국정기획위원회 1차 전체회의를 갖고 본격 가동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의 PK 대표 공약이었던 해수부 부산 이전도 조만간 구체화 될 전망이다. 대통령실에선 경제성장수석 산하에 신설되는 해양수산..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팔지도 않은 집에 세금을?" 대전 재초환 둘러싸고 '설왕설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를 둘러싸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대전에선 올해 입주한 서구 용문1·2·3구역 '둔산더샵엘리프' 재건축 사업이 적용대상으로 꼽히면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재건축 부담금 부과 예상 단지는 전국 58곳으로 집계됐다. 이중 대전에선 용문1·2·3구역이 유일하다. 재초환은 재건축으로 얻은 초과 이익이 조합원 1인당 8000만 원이 넘으면 초과 이익의 최대 절반을 부담금으로 환수하는 제도다. 이를 두고 용문1·2·3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재초환 제도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대입+] 문과 침공 현실화… 인문계·교대 합격생 절반 이상이 '이과생'

2025학년도 대학 정시모집에서 인문계 학과와 교대 정시 합격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수학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로 인해,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인문계 학과에 대거 교차 지원하면서 발생한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이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15일 종로학원 분석결과 수도권 주요 17개 대학(서울대·고려대 등 비공개)의 인문계 학과 340곳 중 정시 합격생 가운데 55.6%가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으로 나타났다. 수학..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 ‘내 한 수를 받아라’…노인 바둑·장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