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투표소 설비 예시도. [출처=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
▲안심할 수 있는 투표 환경 조성
선거 전날 투표관리관은 투표 사무원과 함께 투표소를 설비하고 업무 분장과 현장 교육을 진행하며 투표소 운영을 준비한다. 투표소 설비 뒤엔 내·외부에 불법 카메라 설치 여부를 점검한다. 점검을 마친 후에는 선거일 투표 개시 전까지 외부인의 투표소 출입을 전면 금지한다.
투표소 내 불법 촬영은 강력 대응한다. 투표소 내 모든 촬영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사고 발생 시에만 투표참관인이 투표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초소형 카메라 등으로 불법 촬영을 시도하거나, 적발될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한 뒤 고발 조치할 예정이다.
▲법과 원칙에 따라 투표사무 엄정하게
투표소별로 1명씩 지정되는 투표관리관은 이들을 총괄하며 투표소 운영 전반을 책임지고, 투표안내요원 2명은 어르신·장애인·임산부 등 도움이 필요한 선거인에 대한 안내를 맡는다.
투표는 선거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되지만, 투표관리관은 훨씬 이른 시각 준비에 나선다. 투표 시작 1시간 전인 오전 5시까지 동 선관위에서 보관 중인 투표용지를 투표소로 운반해야 한다. 이후 각 부서별 투표사무원에게 교육을 실시하고, 투표참관인에게 참관 방법을 안내한 뒤 투표함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 |
투표관리관의 하루. [출처=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
특히 투표용지를 훼손하거나 소란을 피우는 행위, 사전투표에 참여한 뒤 이중투표 가능 여부를 시험하려 선거일에 다시 투표를 시도하는 등 선거 질서를 해치고 유권자의 평온한 투표권 행사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경찰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엄정히 대처할 계획이다.
![]() |
15일 대전서구선거관리위원회가 서구청에서 투표관리관과 대행사무원 216명을 대상으로 투표관리 실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출처=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
오후 6시 정각 투표관리관은 투표를 마감한 후 참관인 입회 아래 투표함 앞·뒤와 마찬가지로 투표지 투입구를 봉쇄·봉인한다. 투표록, 선거인명부, 잔여투표용지 등은 각각의 봉투에 넣어 봉함·봉인한 뒤 정당·후보자별 투표참관인 각 1명 중 희망자와 경찰 2명이 동행해 투표함과 함께 개표소로 이송한다.
참관인의 동행과 함께 투표함에는 고유 식별번호가 새겨진 홀로그램 스티커를 부착해 투표함의 실명제 효과를 부여하고, 바꿔치기 가능성을 원천 봉쇄한다. 투표관리관은 인계 후에도 구선관위의 연락에 대비해 휴대전화 전원을 항상 켜둬야 한다. 모든 투표 과정은 정당·후보자가 추천한 참관인이 감시하고 있고 수많은 사무원, 관계 공무원, 선거인 등이 참여하여 부정이 개입될 여지가 전혀 없다는 게 선관위 측 설명이다.
대전시선관위 관계자는 "짧은 준비기간과 첨예한 정치·사회적 대립, 지속적인 부정선거 의혹 제기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치러지는 선거지만, 수많은 선거사무관계자의 노력으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준비되고 있다"며 "유권자들은 안심하고 투표에 참여해 달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