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경찰청 전경. |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충남의 경찰 총원은 505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비슷한 규모의 타 시도와 비교했을 때 인구 대비 경찰관 수가 현저히 부족한 수치다.
통계를 살펴보면, 인구 약 213만 명의 충남은 173만 명인 전북보다 인구가 40만 명가량 많지만 경찰 인원은 오히려 105명 적다.
또 인구 178만 명인 전남은 경찰 인력이 5824명으로, 충남보다 768명 더 많다. 비슷한 인구 구조로 보면 충남이 더 많은 경찰 인력이 필요하지만 실제 인력 배치는 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보다 더 격차가 큰 곳은 경북이다. 경북의 인구는 약 262만 명으로 충남보다 49만 명 정도 많지만, 경찰관 수는 무려 6973명으로 충남보다 1917명이나 많다.
충청권의 경찰 1인당 담당 인구도 수도권을 제외하면 가장 높다.
1인당 담당 인구 전국 평균은 393명이지만 충남은 421명으로 가장 세종 447명, 대전 439명 뒤를 이었다. 충북의 경우도 410명으로 충청권 모두 전국 평균 393명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는 전북 340명, 전남 310명, 경북 366명과 비교했을 때 인력 상황이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인력 배분이 불균형을 넘어 치안 공백이라는 현실적인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충남 아산시 배방읍은 재개발로 인구가 급증했지만, 여전히 파출소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늘어난 치안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장에선 이미 한계에 달한 듯 부담감을 호소하면서 타 지역에 비해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 대한 의구심을 품고 있다.
지역의 한 경찰은 "전라도, 경상도와 비교했을 때 지역 1개 경찰서 인력이 30~50명가량 부족하다"며 "이 같은 현상이 충남 15개 시군에서 똑같이 발생하고 있어 전체를 놓고 봤을 땐 타지역과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이로 인한 업무 과중도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지역의 치안 공백이 발생한다 해서 정해진 총원으로 돌려막기 하는 것도 옳지 않은 처사"라며 "경찰 인력 확보는 정부가 상황을 공감해야 하는 문제라 경찰 내부적으로 해결할 순 없다. 정치권에서 아무런 관심이 없는 것 아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