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27일 자정 무렵까지 이어진 노사 간 3차 조정이 끝내 결렬되면서 시내버스 9개사, 669대가 운행을 멈췄다.
창원시는 즉각 전세버스·임차택시를 투입해 긴급 수송대책을 시행 중이다.
조정 테이블은 마지막 순간까지 열려 있었지만, 합의는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시와 사측은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처우 개선안을 제시했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협상 최종기한인 새벽 3시까지 추가 요구사항을 이어가며 교섭안 수용을 거부했다.
사측은 이번 협상을 "유례없는 성의 있는 제안이었다"고 강조하며 "협상 틀을 근본부터 흔들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통상임금 문제는 서울 등 대도시조차 유보 중인 사안인데, 창원에서 이를 전면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한 점은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시 역시 실망감을 감추지 않았다.
창원시는 "시민 불편을 고려해 사측이 선제적으로 처우 개선안을 내놨다"며 "그럼에도 파업을 강행한 노조의 행위는 준공영제의 신뢰를 무너뜨린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사실상 시민을 볼모로 삼은 셈이다.
재정 지원도 도마에 올랐다.
창원시는 준공영제 시행 전인 2020년 586억 원이던 시내버스 재정지원 규모가 올해 856억 원까지 늘었다고 밝혔다.
그 중 인건비가 190억 원, 전체 증가분의 70%를 차지한다.
이번 파업으로 요구된 임금 조정이 반영될 경우, 총 재정지원은 1,200억 원 규모로 확대될 수 있다.
창원시는 "모든 비용을 시민 세금으로 보전해달라는 요구는 시민 공감대를 얻을 수 없으며, 시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서울도 파업을 유보한 사안에서 창원은 기어이 강수를 두며 교섭에 실패했다는 점에서, "조정이 아니라 충돌을 선택한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현재 시는 전세버스 170대, 관용버스 10대, 임차택시 330대를 즉시 투입해 비상 수송체계를 가동 중이다.
시민 대상 긴급 문자도 발송했고, 콜센터도 225-3000번으로 운영에 들어갔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임금 요구 수준이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계속해서 대화를 유도해 파업을 조속히 종결하고 수송 대책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28일 14시부터 협상을 재개한다.
그러나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과 행정 신뢰 손상은 이미 현실이 됐다.
합의가 아닌 압박이 우선된 교섭, 불편은 시민의 몫이 됐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