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의 흑자 경영은 희망 휴직·무급 휴가 등 전 직원이 경비 절감에 동참하고, 전공의 없는 진료환경에서 중증환자 중심의 진료전달 체계를 운영하면서 적자를 피해간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3개월 간 입원과 수술이 지난해 3~5월 의정갈등 시기에 비해 각각 11%, 24% 상승한 것도 고무적이다. 조강희 충남대병원장은 중도일보와의 대담에서 경영 흑자 전환의 공을 임직원의 헌신적인 노력과 정부와 대전시의 관심과 지원에 돌렸다.
충남대병원이 지난해 경영이 흑자로 전환했지만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충청권 등 지역환자들이 '빅5' 등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몰리는 현상은 여전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들 지역환자들이 지출하는 진료비와 교통비·숙박비 등 사회적 비용은 연간 최대 4조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환자들이 서울로 쏠리는 이유는 지역 의료기관에 대한 낮은 신뢰에 있다. 지역 대형병원의 전문인력 확보 등 진료 역량 고도화가 우선 과제로 꼽히는 이유다.
의료계는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지명되자 의정갈등의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공공 의료 강화와 의대 정원 합리화를 내걸었다. 최소한의 사회 안전망인 의료 격차 해소 없이 지역 균형발전은 요원하다. 환자들이 '상경 진료'가 아닌 권리와 안전을 보장할 의료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선 지역 의료기관의 뼈를 깎는 자구 노력과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