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스피어엑스 연구팀이 선정하고 합성해 공개한 타란툴라 성운 모습. 복잡한 실타래 모양이 거미를 닮았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천문연 제공 |
천문연은 NASA가 아카이브 사이트를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아카이브는 캘리포니아 공과대 천체물리학 및 행성과학 연구 데이터 센터인 IPAC의 아카이브 IRSA(NASA/IPAC 적외선 과학 아카이브)다.
현재 공개된 자료는 5월 1일부터 열흘가량 얻은 이미지다. 스피어엑스는 3월 12일 발사 이후 5월부터 본격 관측에 돌입했다.
스피어엑스는 지구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바퀴 공전하며 600회 이상 촬영해 3600장가량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다. 이렇게 촬영한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합성해 2년간 6개월마다 3차원 전천 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앞으로 스피어엑스 데이터는 수집 후 60일 이내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원본 그대로 공개되진 않으며 스피어엑스 연구팀이 원시 데이터를 처리해 오류나 왜곡을 제거하고 검출기 효과 보정, 정확한 천체 좌표 정렬 등 기본 작업을 거친다. 관측 자료와 함께 데이터 처리에 사용한 절차까지 공개될 예정이다.
스피어엑스/IPAC 과학데이터센터 책임자인 레이철 에이커슨(Rachel Akeson)은 "우리 하늘 전체를 관측하고 있기 때문에 스피어엑스 데이터는 천문학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룰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스피어엑스 총괄 책임자인 천문연 정웅섭 책임연구원은 "스피어엑스 데이터 아카이브가 공개돼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방법으로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천문 연구에 활용할 것"이라며 "스피어엑스는 우주탐사 유산의 일환으로 어떤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나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