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에서는 신청인, 피신청인(언론사), 중재부, 청구권, 침해법익 등 각 유형별 처리현황 분석결과를 수록했다. 또 동영상 플랫폼 콘텐츠 관련 처리현황, 피해구제보도문의 게재 방식, 기각·각하 사유, 손해배상 조정액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제2부에서는 정정보도문 게재 사례, 손해배상금 지급 사례 등 조정 결과별로 선별한 주요 언론조정사례 25건을 소개했다. 특히유튜브에 게시된 뉴스 영상을 열람차단하거나 OTT에 업로드된 보도 영상 말미에 자막 형식의 반론보도문을 추가하는 등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피해구제방식을 보여주는 사례가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연도별 조정·중재사건 접수 및 처리현황'과 '매체별 침해 유형 및 처리결과'도 부록으로 수록해 언론조정사건의 연도별 추세와 지난해 언론사별 사건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책의 활용도를 높였다.
언론조정중재 사례집은 위원회가 언론조정·중재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언론피해구제과 분쟁예방 실무에 도움을 주고자 매년 발간해오고 있다.
한편 <2024년도 언론조정중재 사례집>은 위원회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