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선민 부장 |
높은 곳에 올라가 있을 때 느껴지는 불안감은 떨어져 다치게 될 걱정에 대한 느낌일 텐데, 높은 곳에서 떨어질 때의 속도와 일상생활에서 차를 타고 움직일 때의 속도와 비교를 해보면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속도에 대해 얼마나 둔감해졌는지 놀라게 된다.
아파트 2층에서 떨어져 지면에 닿게 되는 순간의 속도는 시속 40㎞ 정도가 되고, 5층은 62㎞ 정도, 13층은 100㎞ 정도가 된다. 시속 100㎞의 속도로 바위와 충돌했을 때와 13층에서 떨어져 지면에 닿을 때의 충격이 같다는 것인데, 차를 타고 시속 100㎞의 속도로 운행할 때 느껴지는 불안함과 스키장 리프트를 타고 13층 높이를 지날 때 느껴지는 불안함의 차이를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이 높은 곳에 있을 때가 더 불안하다고 대답할 것이다. 오랫동안 수평 방향으로 바라보고 지면 위를 이동하는 것에 익숙해졌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시속 40㎞의 속도로 운행할 때는 느린 속도로 여겨 안전띠를 하지 않는 등 안전에 신경을 쓰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2층 높이에 매달려 있을 때는 떨어지지 않으려는 많은 노력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키장의 리프트와 같이 높은 곳을 운행하는 이동수단들의 안전에 가장 중요한 항목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하면 모든 사람이 이구동성으로 안전하게 공중에 매달려 있게 하는 케이블의 튼튼함을 얘기할 것이다. 케이블이 끊어지면 땅에 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지극히 당연할 것이다.
자동차의 여러 장치 중 스키장 리프트의 케이블 역할을 하는 것이 타이어인데, 단순한 검정색 고무 덩어리로 보고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듯하다. 보통 자동차의 성능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엔진 출력, 브레이크 성능, 선회능력 등에 주목하지만, 이 모든 기능은 타이어를 통해서만 지면에 전달되기 때문에 타이어가 정상이 아니라면 강력한 출력을 가진 엔진이나 브레이크도 소용이 없다.
타이어가 정상인지 점검해야 할 여러 항목이 있는데, 일반 운전자도 쉽게 점검할 수 있는 항목에 대해 나열해보고자 한다.
첫째는 마모도 점검이다. 타이어가 과도하게 마모된 상태로 주행하면, 미끄러짐이 많아져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될 수 있다. 특히 도로에 물기가 많은 상황이라면 아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다. 점검 방법은 타이어의 측면에 △모양의 표시가 있는데, 그 표시를 따라 접지면 연장 선상에 마모한계표시가 있다. 마모한계표시는 타이어 접지면의 오목한 곳에 다른 부분보다 튀어나온 형태이고, 마모한계표시까지 접지면이 마모되었다면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둘째는 공기압 점검이다. 공기압이 적절한지 육안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타이어 안의 공기가 빠져나간 상태라면 차량의 조종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타이어의 형태가 눈으로 보아도 공기가 약간 빠져 주저앉은 듯 보인다면 실제는 공기가 반 이상 빠져나간 정도로서 최대한 빠른 시간에 공기를 보충해주어야 하고, 공기가 빠져나가는 원인을 찾아 수리해야 한다.
셋째는 타이어 표면의 손상이다. 자동차를 운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면 진행 방향이 급격히 바뀌는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육안으로 관찰되는 문제점 중, 타이어의 옆쪽 일부분만 부풀어 오른 것이 관찰되면, 타이어 속의 강철와이어가 절단된 경우일 것으로, 즉시 타이어를 교체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특히 타이어표면에서 갈라짐이 관찰된다면 여러 이유에 의해 표면이 경화되기 시작한 것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
이처럼 단순한 검은 고무 덩어리처럼 보이는 타이어가 복잡하고 정밀한 기계부품으로 이루어진 다른 부분보다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매일매일 관찰은 어렵더라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라도 둘러보기를 바란다. /권선민 한국도로교통공단 대전세종충남지부 안전교육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