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교직원노동조합광주지부·광주교사노동조합·광주실천교육교사모임은 "교육부 장관 후보 청문회가 열리는 오늘 우리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로부터 기다리는 답변은 자진사퇴 선언이지, 자녀문제와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한 변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후보자는 대학 행정 경험과 대통령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에는 관심과 의지를 보였을지 모르나, 유·초·중등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실천 경험이 현저히 부족하다"며 "입시경쟁 해소, 사교육비 경감, 국가책임 유보통합, 고교학점제 운영, 교육과정 개편, 교권 보호 등 산적한 교육 현안을 해결할 역량과 비전을 보여준 바 없다"고 밝혔다.
또한 "이 후보자는 자녀를 중학교 시절 미국으로 조기유학 보낸 사실을 스스로 인정했다. 이는 현행 초·중등교육법 하위 법령을 위반한 것으로, 자녀에게 특권을 부여한 선택이었다. 교육부장관 후보자로서 지녀야 할 공정성과 도덕성에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제자의 석사 논문을 표절해 학술지에 발표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 후보자는 해당 논문이 자신이 연구책임자였던 과제의 일환이며, 실질적 기여는 본인이 했다고 해명했지만 이는 오히려 지도교수로서 제자의 학위 논문이 잘못됐음을 인정하는 것이며, 인용 없이 자신을 제1저자로 올린 것은 명백한 표절로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교육단체는 "후보자의 리더십과 소통능력에도 강한 의문이 제기된다. 충남대 총장 재직 시절, 학내 구성원들과의 소통 부재와 권위적인 행정은 심각한 비판을 받았다. 특히 학생과 동문들이 자발적으로 설치한 '평화의 소녀상'을 불법 시설물로 규정하고 철거를 요구한 사건은 행정 실패를 넘어, 소통 실패이자, 역사 인식과 교육 철학에 근본적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며 "한 대학에서도 소통에 실패한 인물이 교육부장관으로서 교육개혁을 위해 현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을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눈높이에서도, 교육 주체들의 기준에서도 이진숙 후보자는 현재 혼란에 빠진 교육계를 이끌고, 교육 대개혁을 요구하는 교육주체들의 열망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후보가 아니며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최소한의 책임 있는 행동"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이진숙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고, 개혁 의지와 식견, 민주적 리더십을 갖춘 인물을 다시 지명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광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