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2년 세종청사 1동에 마련된 귀빈(VIP) 집무실 내부 모습. 사진=중도일보 DB. |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전 대통령까지 4대를 거치는 동안 방문 이벤트나 선거용으로 활용됐다는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국정의 중심축이 늘 서울 청와대와 여의도의사당, 삼청동 총리 공관 등에 머물러 있고, 역대 대통령 그 누구도 정부세종청사 중심의 국정 기조 전환 의지를 보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종시 출범 이후로도 수도권은 초집중·과밀 속도를 늦추지 않았고, 2020년 사상 첫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는 기현상을 가져왔다.
지난 13년간 국무조정실을 위시로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등 모두 44개 중앙행정기관이 세종청사에 자리 잡았으나 국정 운영의 컨트롤타워로 자리매김하지 못했고, 서울과 세종을 오가는 비효율과 정책 품질 저하가 지속되고 있는 분석은 팩트에 해당한다.
![]() |
연간 얼마나 활용되는 지도 모른채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세종청사 국무회의실. 사진=이희택 기자. |
문재인 전 정부 당시 제안된 '세종청사 중앙동' 임시 집무 구상도 물거품된 지 오래다. 당시 중앙동 10층에 임시 집무실을 설계했으나 윤석열 정부 들어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다.
이재명 새 정부도 오는 9월경 청와대 유턴 구상만 밝혔을 뿐, 이미 구축된 '1동 귀빈 집무실과 국무회의장'이나 '중앙동 10층의 설계 공간 리모델링' 활용안 등은 염두에 두지 않는 모양새다.
세종 갑을 지역구로 둔 김종민 국회의원이 앞서 ▲대통령 주재 세종 국무회의 월 1회 정례화 ▲(청와대 입주 시점에 맞춰) 서울(청와대)-세종(세종청사 중앙동) 대통령 집무실 동시 운영 ▲서울(대한민국 상징 수도)+세종시(행정수도) 양경제 검토 등 모두 3가지 요구안을 국정기획위에 제출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회적 합의'만을 강조하며 희망고문을 더 이상 해 선 안될 시점인 2025년.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 세종 집무실(2028년)과 국회 세종의사당(2032년) 완공 시점에 앞서 세종청사를 오가며 '지방 살리기와 수도권 과밀 해소' 시그널을 보내줄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향후 대통령 및 총리 직속 위원회의 조속한 세종시 이전을 촉구해온 홍성국 전 국회의원(세종 갑)과 조상호 전 세종시 경제부시장이 국정기획위원회 활동 과정에서 이 점을 어필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7월 들어 중책을 맡은 박수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장과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굳게 닫힌 세종청사 1동 귀빈 집무실. 사진=이희택 기자. |
![]() |
사진은 세종청사 국회 상임위 회의장 입구. 사진=이희택 기자. |
![]() |
대통령 임시 집무실 설계가 반영된 중앙동 모습. 10층이 높은 층고를 반영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 |
다른 층에 비해 층고가 높게 적용된 중앙동 10층 복도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