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대통령실·국무회의장' 활용 안하나? 못하나?

  • 정치/행정
  • 세종

정부세종청사 '대통령실·국무회의장' 활용 안하나? 못하나?

2012년 개청 당시부터 귀빈(VIP) 집무실과 국무회의장 마련
역대 대통령 4번 바뀌며 사실상 방치 수준...방문 이벤트나 선거용 전락
이재명 정부 역시 사회적 합의 강조하며 '세종청사' 활용 로드맵 미궁

  • 승인 2025-07-16 11:34
  • 수정 2025-07-16 14:07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2025042101001775800073341
2012년 세종청사 1동에 마련된 귀빈(VIP) 집무실 내부 모습. 사진=중도일보 DB.
2012년 정부세종청사 개청 당시부터 마련된 '대통령 세종 임시 집무실(귀빈 집무실, Office of VIP)과 국무회의장'. 영상회의 시스템까지 구축하고도 제대로 된 활용은 여전히 요원해 보인다.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전 대통령까지 4대를 거치는 동안 방문 이벤트나 선거용으로 활용됐다는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국정의 중심축이 늘 서울 청와대와 여의도의사당, 삼청동 총리 공관 등에 머물러 있고, 역대 대통령 그 누구도 정부세종청사 중심의 국정 기조 전환 의지를 보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종시 출범 이후로도 수도권은 초집중·과밀 속도를 늦추지 않았고, 2020년 사상 첫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는 기현상을 가져왔다.

지난 13년간 국무조정실을 위시로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등 모두 44개 중앙행정기관이 세종청사에 자리 잡았으나 국정 운영의 컨트롤타워로 자리매김하지 못했고, 서울과 세종을 오가는 비효율과 정책 품질 저하가 지속되고 있는 분석은 팩트에 해당한다.



국무회의장
연간 얼마나 활용되는 지도 모른채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세종청사 국무회의실. 사진=이희택 기자.
실제 세종청사 1동 임시 집무실과 국무회의장은 대부분 잠겨진 채 방치되고 있다. 새 정부 들어서도 현실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김민석 총리가 7일 취임 후 세종동 총리 공관에서 1주일을 보냈으나 새로운 시그널 역시 없었다.

문재인 전 정부 당시 제안된 '세종청사 중앙동' 임시 집무 구상도 물거품된 지 오래다. 당시 중앙동 10층에 임시 집무실을 설계했으나 윤석열 정부 들어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다.

이재명 새 정부도 오는 9월경 청와대 유턴 구상만 밝혔을 뿐, 이미 구축된 '1동 귀빈 집무실과 국무회의장'이나 '중앙동 10층의 설계 공간 리모델링' 활용안 등은 염두에 두지 않는 모양새다.

세종 갑을 지역구로 둔 김종민 국회의원이 앞서 ▲대통령 주재 세종 국무회의 월 1회 정례화 ▲(청와대 입주 시점에 맞춰) 서울(청와대)-세종(세종청사 중앙동) 대통령 집무실 동시 운영 ▲서울(대한민국 상징 수도)+세종시(행정수도) 양경제 검토 등 모두 3가지 요구안을 국정기획위에 제출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회적 합의'만을 강조하며 희망고문을 더 이상 해 선 안될 시점인 2025년.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 세종 집무실(2028년)과 국회 세종의사당(2032년) 완공 시점에 앞서 세종청사를 오가며 '지방 살리기와 수도권 과밀 해소' 시그널을 보내줄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향후 대통령 및 총리 직속 위원회의 조속한 세종시 이전을 촉구해온 홍성국 전 국회의원(세종 갑)과 조상호 전 세종시 경제부시장이 국정기획위원회 활동 과정에서 이 점을 어필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7월 들어 중책을 맡은 박수현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장과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0716_103721839_01
굳게 닫힌 세종청사 1동 귀빈 집무실.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716_103116976_02
사진은 세종청사 국회 상임위 회의장 입구. 사진=이희택 기자.
중앙동
대통령 임시 집무실 설계가 반영된 중앙동 모습. 10층이 높은 층고를 반영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716_105645735
다른 층에 비해 층고가 높게 적용된 중앙동 10층 복도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위기 징후 있었는데…" 대전 서구 모자 사망에 복지단체 실태 점검, 대책 촉구
  2. 구자홍 비노클래식 대표, 목원대 문화예술원장 취임
  3. 대전교육청 급식 준법투쟁 언제까지… 조리원 직종 교섭 오리무중
  4.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5. 충남대 ‘대전형 공유대학 설명회’… 13개 대학 협력 시동
  1. 대전대 HRD사업단, 성심당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교육
  2.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3. [사설] 여가부 세종 이전이 더 급하다
  4. 이재명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정책… 혁신 비전과 실행력 선보일까
  5.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헤드라인 뉴스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중도일보, 대전일보, 충청투데이가 함께 진행한 '지천댐 건설 찬반 여론조사' 결과,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이 지천댐 건설에 찬성했다. 앞서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찬성표가 소폭 줄긴 했으나, 이는 조사범위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결과에 따라 다수의 주민이 지천댐 건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나 댐 건설 명분이 보다 명확해졌다. 중도일보-대전일보-충청투데이는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지천댐 건설에 대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수행했으며 조사 대상지는 청양..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가 제기된 여러 논란을 적극 해명하면서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혹에 대해선 고개를 숙이며 국회 인사청문회를 정면 돌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카더라식 의혹’보다 능력과 정책 검증을 강조하며 이 후보를 엄호한 반면, 국민의힘은 시종일관 자진 사퇴를 촉구하며 맞섰다. 이 후보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민주당 진선미 의원과 국힘 김대식·김민전·서지영 의원 등이 여러 의원이 질의한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 "이공계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이 후보는 "2..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나비효과가 서울시와 세종시 등으로 산재된 산하 기관의 후속 이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연말로 확정되고, 입지도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로 정해졌다. 이 같은 흐름이 강행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 등으로 분산된 해양수산 관련 산하기관 이전안으로 옮겨가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내부 고위 관계자 회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형상 해수부와 산하 기관이 한데 모여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판단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