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2. 대전 서구 도안동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2. 대전 서구 도안동 카페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상권 카페 14곳으로 꾸준
매출 1420여만원으로 대전과 서구 전체보다 높아
여성이 남성 보다 매출 우위... 20대가 압도적 1위

  • 승인 2025-07-16 16:17
  • 신문게재 2025-07-17 8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유성구 목대 앞 상권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2. 대전 서구 도안동 카페



직장인 김 모(42) 씨는 몇 년 전부터 카페 창업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20대 때부터 직장생활로 마련한 목돈을 통해 자금을 확보했다. 부족한 건 소상공인 대출을 통해 마련할 계획이다. 그가 카페 창업에 눈을 뜬 건 수년 전부터다. 한 책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업종으로 창업을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글귀를 읽고 나서부터다. 바리스타 자격증도 가진 그는 커피 머신부터 어떤 원두로 커피를 내려야 할지 자신만의 레시피가 있다. 주변 사람들에게 외국에서 공수한 원두를 선물하거나 자신의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만들어줄 때 가장 큰 행복감을 느낀다. 집안 내 작은 공간을 카페처럼 꾸며 미래 자신의 창업 공간을 꿈꾸며 하루하루 행복한 나날을 지내고 있다. 프랜차이즈 카페가 즐비한 요즘, 자신만의 색을 입힌 카페를 만들고 싶어 한다. 매출은 어느 정도 나오는지, 경쟁 상대는 얼마나 있는지가 궁금하단다.



▲경쟁자는 얼마나=그가 원하는 서구 도안동 상권 내 카페 수는 2025년 4월 기준 총 14곳으로, 1년 전(15곳)보다 1곳 줄어든 상태다. 최근 1년 내 한 곳밖에 줄어들지 않았다는 건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뜻이다. 서구 전체에서 카페가 2024년 4월 1279곳에서 2025년 4월 1197곳으로, 대전도 이 기간 4025곳에서 3878곳으로 감소한 걸 보면 해당 상권의 수요는 아직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한 번 자리를 잡아 업력을 유지한다면 활력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여력은 충분하단 뜻으로 해석된다.





▲매출은=매출은 들쭉날쭉하지만 서구 전체와 대전 전체를 놓고 봤을 땐 우위에 있다. 해당 상권 매출은 2025년 4월 기준 1432만원으로, 1년 전(1612만원)보다 줄어든 상태다. 최근 1년 내 가장 높은 매출액은 2024년 5월 1706만원이었으며, 가장 적은 매출은 2025년 2월 729만원이다. 서구 전체 매출이 2025년 4월 기준 995만원, 대전 전체는 895만원으로, 전체적인 카페 매출이 1000만원대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상권 내 매출이 이보다 높다는 건 아직 카페로 도전해볼 만하다는 뜻이다. 매출은 주중이 평균 234만원으로, 주말(132만원)보다 높았다. 주중엔 화요일이 27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월요일 277만원, 수요일 226만원, 목요일 202만원, 금요일 186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36만원, 일요일 127만원으로 비슷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카페 매출은 여성이 725만원으로 남성(643만원)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546만원, 50대 265만원, 30대 223만원, 40대 218만원, 10대 75만원, 60대 이상 41만원이다. 카페 특성상 오후 시간대 찾는 손님들이 많았다. 오후 2~6시가 평균 477만원의 매출을 발생시켰다. 이어 오전 12시~오후 2시 444만원, 오전 9시~낮12시 266만원, 오후 6시~11시 200만원, 오전 5~9시 40만원 순이다. 소비자들이 찾는 시간대별로 매장 오픈 시간과 마감 시간 등을 정할 수 있다. 점심 이후 커피를 마시려는 이들이 주를 이뤘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5년 4월 기준 1만 9989명으로, 1년 전(1만 820명)보다 훌쩍 늘어났다. 매월 지속적으로 유동인구가 늘어나며 2만명대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1만 1561명, 여성은 8428명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 4447명, 60대 이상 4011명, 50대 3975명, 30대 3336명, 20대 2695명, 10대 1525명 등이다. 주중이 2만 694명으로 주말(1만 8007명)보다 많았다. 요일별로는 주중이 2만명대로 고루 유지됐으며, 주말은 토요일 1만 9099명, 일요일은 1만 6916명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6시 4954명, 오후 6시~11시 4854명, 오전 9시~낮 12시 3249명, 오전 5~9시 2850명, 낮 12시~오후 2시 2209명, 오후 11시~오전 5시 1870명 순이다. 그의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위기 징후 있었는데…" 대전 서구 모자 사망에 복지단체 실태 점검, 대책 촉구
  2. 구자홍 비노클래식 대표, 목원대 문화예술원장 취임
  3. 대전교육청 급식 준법투쟁 언제까지… 조리원 직종 교섭 오리무중
  4.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5. 충남대 ‘대전형 공유대학 설명회’… 13개 대학 협력 시동
  1. 대전대 HRD사업단, 성심당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교육
  2.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3. [사설] 여가부 세종 이전이 더 급하다
  4. 이재명 새 정부 '국가균형성장' 정책… 혁신 비전과 실행력 선보일까
  5.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헤드라인 뉴스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 지천댐 건설 '찬성'

중도일보, 대전일보, 충청투데이가 함께 진행한 '지천댐 건설 찬반 여론조사' 결과, 청양·부여 주민 100명 중 63명이 지천댐 건설에 찬성했다. 앞서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찬성표가 소폭 줄긴 했으나, 이는 조사범위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결과에 따라 다수의 주민이 지천댐 건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나 댐 건설 명분이 보다 명확해졌다. 중도일보-대전일보-충청투데이는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지천댐 건설에 대한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리얼미터가 수행했으며 조사 대상지는 청양..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장관 후보 논문표절 적극 해명… 자녀 유학 공식 사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가 제기된 여러 논란을 적극 해명하면서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혹에 대해선 고개를 숙이며 국회 인사청문회를 정면 돌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카더라식 의혹’보다 능력과 정책 검증을 강조하며 이 후보를 엄호한 반면, 국민의힘은 시종일관 자진 사퇴를 촉구하며 맞섰다. 이 후보는 16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민주당 진선미 의원과 국힘 김대식·김민전·서지영 의원 등이 여러 의원이 질의한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 "이공계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이 후보는 "2..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세종시 소재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도 급물살...지역 반발 확산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나비효과가 서울시와 세종시 등으로 산재된 산하 기관의 후속 이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연말로 확정되고, 입지도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로 정해졌다. 이 같은 흐름이 강행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자연스레 서울과 부산 등으로 분산된 해양수산 관련 산하기관 이전안으로 옮겨가고 있다. 해수부는 이날 내부 고위 관계자 회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형상 해수부와 산하 기관이 한데 모여 있어야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판단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